“집에선 어여쁜 손자, 대학선 동기”

“집에선 어여쁜 손자, 대학선 동기”

입력 2013-03-14 00:00
수정 2013-03-14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6살 차이’ 방송대 신입생 박희옥 할머니·김겨레군

이미지 확대
박희옥 할머니·김겨레군
박희옥 할머니·김겨레군
“혹시 글쓰기 책 예습하고 오신 분 있나요?”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한 카페. 한쪽에서 방송통신대 신입생의 스터디가 한창인 가운데 올해 최고령 합격자인 박희옥(74)씨가 손을 번쩍 들었다. 박씨의 책에는 형광펜 자국이 또렷하다. 그 모습을 흐뭇하게 보는 이도 있다. 박씨의 손자 김겨레(18)군이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에 합격한 ‘13학번 동기’다. 할머니와 손자는 이날 오프라인 첫 수업부터 스터디까지 온종일 함께 한다. 김군은 “‘할머니는 열심히 하는데 넌 뭐하냐’는 말을 들을까 제일 걱정”이라면서 “사실 공부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할머니 때문에라도 한 번 덤벼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학 새내기’로 같은 출발선에 섰지만 두 사람이 걸어 온 길은 달랐다. 박 할머니가 ‘늦깎이 모범생’에 가까웠다면 김군은 소위 말하는 ‘문제아’였다. 8남매 중 셋째 딸로 태어난 박 할머니는 공부 기회를 쉽게 잡지 못했다. 6·25전쟁이 끝난 1953년 논산 중학교 입학통지서를 받았지만 큰오빠는 등록금을 아까워했다. 한번 놓친 펜은 쉽사리 다시 잡을 기회를 주지 않았다. 결혼 후 가족들과 먹고살기 위해 계란과 옷 행상에 매달렸다. 그렇게 세월은 갔다. 공부에 대한 열정을 다시 꽃피운 건 2009년 서울 청암중에 입학하면서다. 결국 4년 만에 청암고까지 졸업한 번듯한 대학생이 됐다.

 하지만 김군은 방황이 길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한 이후 늘 ‘문제아’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았다. 지각도, 가출도 잦았다. 고2 겨울방학을 앞두고 손자에게 할머니는 대안학교를 권했다. 다행히도 학교는 김군을 변화시켰다. 김군은 “봉사활동과 국토대장정, 자서전 쓰기 등 많은 걸 경험하면서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고 나를 되돌아보는 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남들에겐 문제아로 불리는 손자지만 할머니에게 가장 자상한 선생님이다. 박씨는 손자를 ‘김 박사’ ‘김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귀찮을 정도로 질문했다. 박 할머니는 “특히 영어는 우리 손자 덕을 많이 봤다”면서 “요즘은 온라인 강의가 많아 손자를 컴퓨터 선생님으로 모셔야 할 판”이라며 웃었다. 김군에게 할머니는 존경의 대상이다. 김군은 “밥 먹으면 게임 하기 바빴던 저와는 달리 할머니는 항상 책상 앞에 4~5시간을 앉아 계신다”면서 “모든 일에 열심이신 할머니를 생각하면 삶을 대하는 자세를 되돌아보게 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목표에는 여전히 온도 차가 있다. 할머니의 목표는 1등, 손자의 목표는 졸업이다. “누가 뭐래도 저보다 더 특별한 대학 동기를 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목표는 달라도 누구보다 즐겁게 학교 생활을 할 자신이 있습니다.” 손자는 할머니의 손을 꼭 잡았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3-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