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댐에 산림청 헬기 추락…2명 실종·1명 부상

임하댐에 산림청 헬기 추락…2명 실종·1명 부상

입력 2013-05-09 00:00
수정 2013-05-09 11: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불 끄고 돌아가다 댐 상공서 물탱크 청소 중 사고실종자 수색 난항…헬기 동체는 발견

산불을 끄고 안동 산림항공관리소로 되돌아가던 헬기가 임하댐에 떨어져 2명이 실종하고 1명이 부상했다.

9일 오전 9시 38분께 경북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 임하댐에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안동산림항공관리소 소속 헬기 1대가 추락했다.

헬기에는 박동희(57)기장, 진용기(47)부기장, 황영용(42) 정비검사관 등 3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황씨는 스스로 탈출, 수십m를 헤엄쳐 나온 뒤 때마침 인근을 지나던 수운관리사업소 직원에 의해 구조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나 나머지 2명은 실종 상태다.

이 헬기는 전날 오후 11시 45분께 경북 영덕 국유림에서 일어난 산불을 진화하고 안동으로 돌아가던 중이었다고 산림항공관리소측은 밝혔다. 미국 에릭슨에어크레인사에서 생산한 S-64E 초대형 다목적 헬기로 2007년 도입했다.

황씨는 경찰에서 “임하댐 상공 5m∼10m에서 헬기 물탱크 청소를 하던 중 갑자기 추락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소방본부, 경찰, 해양경찰 등은 임하댐 일대에 헬기, 구조용 보트, 제트스키 등 장비와 2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수색에 나서 수심 30여m 지점에서 헬기 동체를 발견했으나 실종자들은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물 탁도가 높고 기체가 무거워 실종자 수색과 헬기 인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토해양부와 경찰은 황씨의 말 등에 따라 헬기가 댐 상공에서 선회하면서 산불 진화 중에 발생한 부산물을 씻어내다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더구나 사고 헬기가 오전 9시 38분께 교신이 끊겼지만 119구조를 요청한 것은 이보다 1시간 가량 지난 10시 35분인 점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한편 사고 헬기는 인양 능력 9천㎏, 물탱크 용량 8천ℓ의 초대형이고 수심이 깊은 곳에 빠진 데다 대형 크레인 등 장비가 없어 인양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댐을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는 사고 헬기에서 항공유가 나옴에 따라 사고 지점 주변에 대형 오일펜스를 설치하고 포항지역으로 공급하는 영천도수로 취수와 발전 방류를 중단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