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간 대북정책 연구한 장달중 서울대 교수 정년퇴임
“비록 대학 강단에서 물러나지만 강연이나 포럼 등을 통해 정부의 대북정책에 비판적 시각을 유지할 겁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장달중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29일 서울대 본인 연구실 앞에서 정년 퇴임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3년 넘게 국내외 정치 현안과 북한 문제를 연구한 장달중(65)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30일 정년 퇴임한다. 퇴임을 하루 앞둔 29일 대학 연구실에서 만난 장 교수는 의외로 덤덤하고 차분하게 “마음이 홀가분하다”고 했다. 그는 국방부와 통일부의 정책자문위원, 정책평가위원장 등을 지내며 오랫동안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을 가까이서 지켜봤다.
장 교수는 “10년 사이 통일에 대한 관념 자체가 많이 변했다”면서 “과거에는 통일을 ‘무조건 해야한다’는 절대적 신념이었지만 지금은 통일도 국익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측면이 많아 통일보다 평화를 강조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통 큰 진전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 같다”면서 “다만 어떻게든 남북이 자주 교류하고 접촉해야 하며, 접촉을 통해 북한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 교수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남북관계의 신뢰를 회복한다면서도 정작 북한이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장 교수는 “정부는 북한에 거듭 대화와 협상 과정에서 진정성을 보이라고 재촉하고 있다”면서 “물론 북한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지만 북한이 한 단계씩 신뢰를 증명해가는 과정을 지켜볼 줄 아는 포용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수세에 몰린 북한을 계속 압박해 ‘투서기기’(投鼠忌器·쥐를 잡으려고 하나 그 옆의 그릇이 상할까 염려한다)의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대북정책을 둘러싼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남북 교류의 기조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개성공단의 정상화 합의로 한동안 북한과 별 탈 없이 지내겠지만 이후 금강산 관광 재개와 같은 통 큰 진전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그렇다고 교류의 장을 차단해서는 안 되며, 접촉을 통한 변화를 대북정책의 기본 기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동북아 정세의 역학관계를 고려할 때 중국은 여전히 북한과의 관계를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이 장 교수의 판단이다. 그는 “현재 정치와 안보, 외교에서 우리나라가 중국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단계에 도달했는 지는 확신할 수 없다”면서 “일부 언론이 지난 6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이 남북문제에 있어 우리 편을 들었다는 식으로 보도했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북한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가 없다는 점이 그동안 마음에 걸렸다”면서 “강단과 연구실을 오가며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위한 북한학 교과서 출간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북한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08-3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