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부부’

‘조용한 부부’

입력 2013-12-24 00:00
수정 2013-12-24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나라 부부 3쌍 중 1쌍 “하루 30분도 대화 안 한다”

우리나라 부부 세 쌍 가운데 한 쌍은 하루에 30분도 채 대화를 나누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23일 인구보건복지협회의 ‘5차 저출산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녀를 가진 부부는 절반 이상이 하루에 한 시간 이상 대화를 하지만 영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부는 그 비율이 반토막으로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1~16일 전국 기혼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하루 평균 대화시간을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32.9%는 ‘30분~1시간’이라고 답했다. ‘10~30분’과 ‘10분 미만’이 각각 29.8%, 8.6%로 결국 38.4%의 부부가 하루 30분도 대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인이 임신 중일 때는 1시간 이상 대화하는 비율이 55.6%였지만 영·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부에서는 각각 27.5%, 19.5%로 크게 떨어졌다.

부부 간 대화를 방해하는 요소로는 늦은 귀가·주말 근무(34.4%)를 가장 많이 꼽았다. TV·컴퓨터·스마트폰 사용(29.9%)이 뒤를 이었다.

부부 관계에서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도 눈에 띈다. 대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자녀 양육으로 둘만의 시간 부족’을 꼽은 응답이 19.2%였고 대화 주제에서도 ‘자녀 교육과 건강’(40.0%)이 1순위를 차지했다. 특히 자녀 교육·건강 문제가 부부 대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영·유아 자녀를 둔 부부 42.8%, 초등학생 자녀 부부 50.0%, 중·고등학생 자녀 부부 70.0% 등으로 자녀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급증했다.

배우자에게 ‘사랑한다’는 애정 표현이나 칭찬, 격려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묻자 50.4%가 ‘가끔 기분 좋을 때’라고 답했다. ‘거의 매일’ 하는 경우는 25.9%에 그쳤다. 50~60대 부부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각각 50.0%, 61.9%로 절반을 넘었다.

조사를 주관한 이상무 평택대 교수는 “부부 간 대화를 늘리려면 20대는 TV·스마트폰 사용 자제, 30~40대는 가정 친화적 직장문화, 50~60대는 대화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3-12-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