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때문에 미칠 노릇”…시민들은 ‘전쟁’중

“미세먼지 때문에 미칠 노릇”…시민들은 ‘전쟁’중

입력 2014-02-27 00:00
수정 2014-02-27 1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상 관측 이래 최장·최악의 중국발 미세먼지가 여전히 기승을 부린 27일 뿌옇고 탁한 하늘 아래 서울 시내 거리는 한산하기만 했다.

어쩔 수 없이 길을 나서야 하는 시민들은 얼굴을 잔뜩 찌푸린 채 입과 코를 막고서 걸음을 재촉했다.

이날 명동 거리에서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뿌연 하늘을 신기해하며 황사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거리에서 전단지를 나눠주는 상점 직원들도 마스크를 쓴 채였다.

일부 시민들은 마스크 대신 목에 두른 목도리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린 채 종종걸음을 쳤다.

약속 상대를 기다리는 시민들은 미세먼지를 조금이라도 더 피하려고 춥지 않은 날씨에도 밖에 나와있기보다는 건물 안에 들어가 몸을 숨겼다.

상점 직원들은 진열장에 쌓인 먼지를 닦거나 매장 앞에 물을 뿌리는 등 손님에게 갈 수 있는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고자 바삐 움직였다.

매장 앞에서 물청소하던 의류매장 직원은 “먼지 청소 때문에 원래 문 여는 시간보다 더 일찍 출근했다”며 “오후에는 시간이 없어 지금 다 치워야 하는데 곧바로 다시 먼지가 쌓이니 미칠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대학로에 즐비한 길거리 노점들은 손님 발길이 뚝 끊겼고, 대신 미세먼지의 영향을 조금이라도 덜 받는 실내 식당을 찾는 이들이 늘었다.

서울 시내 병원들에는 미세먼지 때문에 기관지나 호흡기 이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줄을 이었다.

광진구 구의동의 한 이비인후과에는 오전 10시 비교적 이른 시각임에도 기관지염과 기침, 재채기 등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특히 미세먼지에다 최근 기승을 부린 독감까지 겹쳐 상태가 나빠진 환자들이 늘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약국에서는 황사 마스크, 구강청결제 등 미세먼지 대비용품들의 판매량이 급격히 늘었다.

구의동의 한 약국 관계자는 “이전에는 방한용 마스크 외에는 거의 마스크 수요가 없었지만 요즘은 황사 마스크가 하루 20장씩 팔린다”며 “미세먼지가 4월까지 계속된다고 해서 물량을 많이 들여놨다”고 말했다.

강남구 도곡동의 한 병원 원장은 “미세먼지 때문에 환자 수가 평소보다 20∼30% 늘었다”며 “황사 마스크로는 먼지를 막기에 역부족이므로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따로 사용하는 편이 좋다”고 조언했다.

시민들은 일주일째 몰아닥친 미세먼지가 ‘재난 수준’이라며 불편을 호소했다.

택시기사 이찬규(59)씨는 “원래 기관지가 안 좋은데다 미세먼지 때문에 목이 따끔거리고 머리까지 아프다”며 “평소 산에 가는 걸 좋아하는데 요즘은 바깥 활동을 자제하고 사우나에 가서 운동하는 것으로 대신한다”고 말했다.

박종서(25)씨는 “라식수술을 한지 얼마 안 됐는데 미세먼지 때문에 눈이 간지럽고 이물감이 심하게 느껴져 회복이 더딜까 봐 불안하다”고 했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수도권의 미세먼지 농도(PM10)는 ‘나쁨’(일평균 121∼200㎍/㎥)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미세먼지 예보 등급은 ‘좋음’·’보통’·’약간나쁨’·’나쁨’·’매우나쁨’ 등 5단계로 구분된다. ‘약간나쁨’(81∼120㎍/㎥) 등급 이상일 때 노약자, 어린이는 실외활동을 되도록 자제해야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