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대학 음대생들 졸업연주 앨범 못받고 발동동

11개 대학 음대생들 졸업연주 앨범 못받고 발동동

입력 2014-05-11 00:00
수정 2014-05-11 1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양대·이화여대 등 353명 피해 호소…경찰, 제작업자 수사

서울시내 음대생 수백 명이 소중한 추억이 담긴 졸업 연주회 앨범을 졸업한 지 3개월이 지나도록 받지 못해 피해 사실을 신고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 성동경찰서는 한양대, 이화여대 등 음대생 300여명으로부터 졸업 연주회 앨범 제작 계약금으로 수천만원을 받고도 계약을 지키지 않은 혐의(사기)로 강남구 모 스튜디오 대표 A씨를 수사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경찰 등에 따르면 A씨는 이화여대 관현악과 등 서울시내 11개 대학 음대생 353명으로부터 2월 졸업식 당일까지 졸업 연주회 사진과 앨범 등을 건네주기로 하고 총 7천여만원의 계약금을 받았지만, 이달까지도 앨범을 넘기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연주회 동영상·사진·브로마이드, 이를 모은 앨범 등을 패키지 상품으로 내놓고 학생들로부터 20만∼30만원씩 계약금으로 받았다.

이화여대 학생들은 대부분 졸업식이 열린 2월 24일까지 앨범은 물론 액자, 브로마이드 등도 받지 못했다.

일부 학생들은 앨범을 받기는 했지만 미숙한 보정작업 때문에 배경이 휘어지고 사진 구도가 잘못돼 바닥의 쓰레기가 그대로 나오는 등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공연 포스터의 연주자 전공은 첼로가 더블베이스로, 트롬본은 트럼펫으로, 비올라는 바이올린 등으로 잘못 표기되기도 했다.

A씨는 사진 촬영 과정에서도 계약 내용을 지키지 않았다고 학생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계약서의 촬영 인원은 최소 3명이었지만 졸업 연주회가 있었던 지난해 11월 11일과 13일 촬영에서 2명의 작가만 촬영에 참여했다고 학생들은 주장했다.

다른 대학 졸업생들도 이대생들과 비슷한 일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학생들은 A씨에게 전화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계약 내용을 지켜달라고 요구했지만 A씨는 이를 일방적으로 무시하고 연락을 두절한 상태라고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 학생 수가 많고 여러 대학에 걸쳐 다양하다”라며 “평생에 한 번 있는 졸업 연주회 촬영을 계약대로 이행하지 않은 채 납품도 제대로 하지 않은 점 등으로 사기 혐의를 적용해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