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800여명은 금수원 정문 약 2m 높이 회색 철문 안쪽으로 한 줄에 20여명씩 40여 줄로 나란히 앉아 때때로 찬송가를 불렀다. 철문 밖으로는 남성 10여명이 대기하며 합류하는 신도들을 확인한 뒤 안쪽으로 안내하거나 취재진의 진입을 막았다.
구원파 홍보담당 조계웅씨는 “신도들의 안전을 고려해 취재진의 접근을 막고 있다”며 “이곳에 들어왔다고 주장하는 한 언론사도 금수원 내부가 아닌 근처 목장에 들어와 금수원 쪽을 촬영한 것이 전부”라고 밝혔다.
오전 10시 30분께 유 회장이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는 소식과 함께 검찰이 금수원에 강제 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지자 금수원 주변은 마치 전운이 감도는 듯 했다.
오후 들어 검찰이 유 회장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고 방송사 헬기가 금수원 상공을 비행하자 일부 신도들이 강하게 항의하는 등 예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 신도는 “날이 날이니만큼 우리도 당연히 긴장하지 않겠느냐”며 “원래는 없었는데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정문에 철문도 세운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신자는 “평일에 이렇게 많은 신도가 모인 적이 없다. 누가 부르지도 않았는데 억울하니까 (사람들이) 이렇게 온 것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한 외국인 여성 신자는 정문 안쪽에 있다가 영어로 쓴 피켓을 들고 나와 취재진을 향해 소리치기도 했다.
그가 들고 있던 피켓에는 ‘Mr ○○○, we don’t have voice in korea. please do something’, ‘○○○ your little sister sitting behind this gate. do something’이라는 영문이 적혀있어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듯했다.
한편 검찰은 지난 13일 유 전 회장에게 이날 오전 10시까지 출석할 것을 통보했으나 유 전 회장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자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법원이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 일정을 잡고 구인장을 발부하면 강제 구인 절차에 착수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구원파 신도들은 평소에도 금수원에 모여 대규모 예배를 갖고 있어 검찰이 이번 주말 금수원에 강제 진입, 유 회장을 구인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