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박근혜 대통령 눈물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청와대에서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대국민담화를 통해 해양경찰청 해체를 발표하자 해경 지망생들이 혼란에 빠졌다.
박 대통령은 19일 오전 9시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세월호 대국민담화에서 “해경의 구조 업무는 사실상 실패한 것”이라며 “해경을 해체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해경 해체와 관련해 “앞으로 수사·정보 기능은 경찰청으로 넘기고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는 신설하는 국가안전처로 이관하겠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해경 해체 소식을 듣자 해경 지망생들이 모인 인터넷 카페에는 해경 해체 소식을 접한 지망생들의 글이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다. 지망생들은 “해경 해체, 허탈하다”, “해경 해체, 너무 갑작스러운 것 아닌가”, “해경 해체, 여태까지 공부한 사람은 어쩌라고”, “해경 해체, 몇 년 공부가 물거품이 됐다” 등 당혹스러운 심경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실기시험을 앞둔 수험생들은 해양경찰학교 교육원이 위치한 전남 여수까지 출발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당초 해양경찰청은 2014년 상반기 경찰관 316명과 화공·선박기관·일반환경 등 일반직 20명 등 336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에 따라 지난 2월 19일부터 3월 5일까지 원서를 접수했다. 또한 돌아오는 하반기에는 총 11개 분야 321명을 채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 여파로 해양경찰관 채용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필기시험은 지난 3월 22일 전국 5개 지역에서 분산 시행됐다. 실기시험은 세월호 사고 수습 때문에 잇따라 연기됐다.
올해 해경의 상반기 채용인원 336명은 작년 상반기에 채용한 183명보다 83.6% 늘어난 규모다. 해경은 올 하반기에는 321명을 채용, 올해 총 657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세월호 대국민담화에서 해경 해체 외에도 국가안전처 신설,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4월 16일을 ‘국가 안전의 날’로 지정하는 방안과 추모비 건립 등의 건을 발표했다. 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대통령으로서 국민 여러분께서 겪으신 고통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대국민사과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