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지사 후보와 시소게임을 벌이는 새누리당 윤진식 후보의 ‘발암 폭탄’ 발언이 선거 막판 표심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이 후보보다 지지율이 다소 낮았던 윤 후보가 이 발언 이후 이 후보를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종종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윤 후보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2∼26일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한 유무선 전화 여론조사(95% 신뢰수준, ±3.7% 표본오차)에서 38.2%의 지지율을 획득, 36.2%를 얻는 데 그친 이 후보를 2% 포인트 앞섰다.
이 여론조사가 시작된 날은 윤 후보가 ‘발암 폭탄’ 발언을 터뜨렸던 때다.
윤 후보는 지난 22일 새누리당 출정식에서 “이시종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기업을 유치한다더니 발암 폭탄을 유치했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충북을 ‘죽음의 땅’으로, 재선을 노리는 이 후보를 ‘환경재앙을 초래한 오명(汚名) 도지사’로 헐뜯었다.
윤 후보는 이후 TV토론회 등에서 ‘발암’을 키워드로 한 공세를 적극적으로 펼쳤고, 이 후보는 그때마다 이를 해명하고 반박하느라 진땀을 흘렸다.
그러나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선거 분위기가 윤 후보에게 유리하게만 흘러가지는 않고 있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나온다.
당장 윤 후보가 ‘발암 폭탄’ 발언을 하게 된 기사를 실은 주간지가 발끈하고 나섰다.
충북권 주간지인 충청리뷰는 지난 28일 “윤 후보는 기사 가운데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편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중지하라”고 촉구했다.
두 후보의 발암물질 설전을 지켜보던 유권자들도 윤 후보의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청원군 학교학부모연합회 이재수 회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어 “마치 머리 위로 폭탄이 날아다니는 전장의 한복판에 있는 느낌”이라고 불안감을 토로했다.
이 회장은 “오창은 공장과 학교가 밀집된 곳으로, 9천여명의 유치원, 초·중·고교생이 매일 유해가스를 마시는 상황”이라며 “우리 학부모들은 이러한 현실을 가볍게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후보에게 W사에 시설 증설을 요청한 배경을 묻는 동시에 윤 후보에게 “어떤 근거로 오창 지역의 유해가스 문제를 발표했고 주민들이 어떤 위험에 노출됐다는 것인지 근거자료를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표를 노린 정쟁’을 통해 불안감을 조성하지 말고 ‘발암 폭탄’ 발언을 하게 된 정확한 근거를 내놓으라고 따진 것이다.
”즉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사실 은폐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겠다”는 이 단체의 경고는 윤 후보가 ‘발암 폭탄’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면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발암 폭탄’이 선거 쟁점으로 이미 두드러졌고, 정쟁에 무관심한 유권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는 점 등을 들어 이 발언이 ‘신의 한 수’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진실 여부를 떠나 윤 후보가 이 발언을 통해 새누리당 지지층을 더욱 결집했고, 일부 부동층 표심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는 얘기다.
연합뉴스
그동안 이 후보보다 지지율이 다소 낮았던 윤 후보가 이 발언 이후 이 후보를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종종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윤 후보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2∼26일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한 유무선 전화 여론조사(95% 신뢰수준, ±3.7% 표본오차)에서 38.2%의 지지율을 획득, 36.2%를 얻는 데 그친 이 후보를 2% 포인트 앞섰다.
이 여론조사가 시작된 날은 윤 후보가 ‘발암 폭탄’ 발언을 터뜨렸던 때다.
윤 후보는 지난 22일 새누리당 출정식에서 “이시종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기업을 유치한다더니 발암 폭탄을 유치했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충북을 ‘죽음의 땅’으로, 재선을 노리는 이 후보를 ‘환경재앙을 초래한 오명(汚名) 도지사’로 헐뜯었다.
윤 후보는 이후 TV토론회 등에서 ‘발암’을 키워드로 한 공세를 적극적으로 펼쳤고, 이 후보는 그때마다 이를 해명하고 반박하느라 진땀을 흘렸다.
그러나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선거 분위기가 윤 후보에게 유리하게만 흘러가지는 않고 있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나온다.
당장 윤 후보가 ‘발암 폭탄’ 발언을 하게 된 기사를 실은 주간지가 발끈하고 나섰다.
충북권 주간지인 충청리뷰는 지난 28일 “윤 후보는 기사 가운데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편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중지하라”고 촉구했다.
두 후보의 발암물질 설전을 지켜보던 유권자들도 윤 후보의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청원군 학교학부모연합회 이재수 회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어 “마치 머리 위로 폭탄이 날아다니는 전장의 한복판에 있는 느낌”이라고 불안감을 토로했다.
이 회장은 “오창은 공장과 학교가 밀집된 곳으로, 9천여명의 유치원, 초·중·고교생이 매일 유해가스를 마시는 상황”이라며 “우리 학부모들은 이러한 현실을 가볍게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후보에게 W사에 시설 증설을 요청한 배경을 묻는 동시에 윤 후보에게 “어떤 근거로 오창 지역의 유해가스 문제를 발표했고 주민들이 어떤 위험에 노출됐다는 것인지 근거자료를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표를 노린 정쟁’을 통해 불안감을 조성하지 말고 ‘발암 폭탄’ 발언을 하게 된 정확한 근거를 내놓으라고 따진 것이다.
”즉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사실 은폐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겠다”는 이 단체의 경고는 윤 후보가 ‘발암 폭탄’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면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발암 폭탄’이 선거 쟁점으로 이미 두드러졌고, 정쟁에 무관심한 유권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는 점 등을 들어 이 발언이 ‘신의 한 수’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진실 여부를 떠나 윤 후보가 이 발언을 통해 새누리당 지지층을 더욱 결집했고, 일부 부동층 표심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는 얘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