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미대한제국 공사 일상 담은 문서 발굴

주미대한제국 공사 일상 담은 문서 발굴

입력 2014-06-25 00:00
수정 2014-06-25 04: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종 사진 걸고 매달 두 번씩 ‘망궐례’… 당구장서 여가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최근 미국 워싱턴DC ‘주미대한제국공사관’ 건물을 수리·보수하기 위해 작성된 견적서인 ‘주미공관중수명세서’(駐美公館重修明細書) 원본을 발굴했다고 24일 밝혔다. 공사관 건물 수리 후 구입 또는 교체한 집기 목록을 담은 ‘주미공관수리후유물기’(駐美公館修理後留物記) 원본도 발굴됐다. 대한제국 해외 공관의 구체적 층별 용도와 공관원의 일상을 담은 문건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문건에 따르면 지하 1층, 지상 3층의 방 9개짜리 공관 지하에는 당구장과 세탁실이, 1층에는 응접실 외에 고종황제와 황태자의 어진·예진(초상이나 사진)을 각각 모신 커다란 정당(正堂)이 자리했다. 정당에는 대형 태극기도 내걸렸다. 또 2층에는 사무실과 서재가, 3층에는 공관원들이 쓰던 3개의 방이 있었다.

1888년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한 박정양 초대 주미조선공사 일행에는 이상재, 이완용, 이하영, 이채연 등 젊은 신료가 포함됐고 이들은 미국에 머무는 동안 매월 초하루와 보름마다 한양을 향해 절하는 ‘망궐례’를 잊지 않았다. 경술국치 이후 독립운동가와 친일파로 각기 다른 길을 걸었지만 그때만큼은 뜻을 같이했다.

이 건물에선 박정양이 미국의 클리블랜드 대통령에게 고종의 국서를 전달할 계획을 세우거나, 4대 공사인 이채연이 각국 공관원 1000여명을 모아 만찬을 열기도 했다. 공문들은 올해 초부터 재단 측이 공사관 복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서울대 규장각 안에 수장된 공문서인 ‘주미내거안’(駐美去案)을 검토하다 확인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6-2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