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정글’ 강남 헤매는 양재천 너구리들

’콘크리트 정글’ 강남 헤매는 양재천 너구리들

입력 2014-08-04 10:30
수정 2014-08-04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두달새 12건 출몰 신고 …

양재천에서 발견된 너구리
양재천에서 발견된 너구리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제공
서울 양재천에 주로 서식하는 야생 너구리들이 ‘콘크리트 정글’인 강남 도심 한복판까지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염성 피부병으로 쇠약해진 탓에 음식물 쓰레기 등 손쉬운 먹잇감을 찾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피부병은 사람에게도 옮을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4일 강남소방서에 따르면 최근 두 달간 강남구에서만 12건의 너구리 출몰 신고가 접수됐다.

지난달 6일 밤 “마당에 너구리가 있다”는 신고가 들어온 삼성동 경기고등학교 뒤편 주택은 야생 너구리 서식지인 양재천과 2.5㎞ 이상 떨어져 있다.

이보다 더 먼 곳인 대치동 포스코 사옥 인근 아파트에서도 올해 6월29일과 지난달 11일 두 차례에 걸쳐 너구리가 나타나 소방관들이 출동했다.

고층 빌딩과 아파트, 주택가 등에 둘러싸여 딱히 너구리가 살 만한 곳이 없는 이 지역에서 최근 야생 너구리가 잇따라 발견된 것이다.

원인으로는 양재천 너구리 대다수가 걸린 것으로 알려진 전염성 피부병이 지목된다.

질병으로 쇠약해진 개체들이 비교적 먹이경쟁이 덜한 도심 아파트와 주택가의 음식물 쓰레기에 이끌렸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실제 구청과 소방당국에 접수되는 너구리 출몰 관련 신고는 “털이 빠지고 괴로워하는 모습이 안타까우니 데려가 치료해 달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강남구 관계자는 “많을 때는 하루 3∼4통씩 너구리 관련 신고가 들어오는데 올해 들어서만 10여 마리를 잡아 동물보호소에 맡겼다”고 말했다.

하지만 야생 너구리는 잡기 어렵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경우도 드물다. 어쩌다 완치되고 나서 자연으로 돌아가더라도 다시 피부병에 걸리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한다.

더 큰 문제는 너구리 피부병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점이다.

너구리 피부병을 유발하는 것은 옴진드기(개선충)나 모낭충인데, 이중 옴진드기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옴진드기는 피부 각질층에 1∼2㎜ 정도의 구멍을 파고들어가 알을 낳는다. 옴에 걸린 너구리는 결국 폐사하는 경우가 많고, 사람 역시 심한 가려움증에 시달리게 되고 치료도 오래 걸린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의 이혜원 정책국장 겸 동물병원 부원장은 “옴은 피부접촉으로 전염되는 만큼 기회가 생기더라도 너구리를 만져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그는 “너구리의 도심 진출을 막으려면 음식쓰레기 단속을 철저히 하고 우연히 마주쳐도 과자 등을 주지 않아야 한다”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아픈 너구리를 정책적으로 치료해 방사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옴진드기 문제와 관련해선 아직 조사된 바가 없다”면서 “최근 양재천 너구리들이 인근 민가로 진출한다는 신고가 늘어난 만큼 가을에 생태조사를 벌이고 대응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