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 제주 표착지 용머리해안 아닌 신도2리 해안”

“하멜 제주 표착지 용머리해안 아닌 신도2리 해안”

입력 2014-08-13 00:00
수정 2014-08-13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일 신도2리 해안서 난파 사망 선원 추모 헌다제

우리나라를 처음 서방에 알린 ‘하멜표류기’의 하멜 일행이 탄 배가 제주에 표착한 곳이 현재 알려진 서귀포시 안덕면 용머리해안이 아닌 대정읍 신도2리 해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멜기념사업회와 신도2리 하멜표착지 규명추진위원회 등은 13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하멜 일행이 제주에 표착한 곳은 용머리해안 인근이 아니라 신도2리 해안”이라고 주장했다.

상선 스페르웨르호는 1653년 제주 해안에서 난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목숨을 건진 사람 가운데 이 배의 서기였던 하멜이 난파 이후의 상황을 자세히 기록해 후대에 알린 책이 한국을 서방에 알린 최초의 책인 하멜 표류기다.

남제주군(현 서귀포시)은 하멜 일행의 표착지로 알려진 용머리 해안에 스페르웨르호 재현 모형을 설치해 관광지로 만들었다.

그러나 1694년 5월부터 21개월간 제주 목사를 지낸 이익태 목사가 쓴 ‘지영록’이 1999년 발견되면서 정확한 표착지가 어딘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하멜기념사업회와 신도2리는 지영록에 표착지가 ‘대정현지방 차귀진하 대야수연변(大靜縣地方 遮歸鎭下 大也水沿邊)’이라고 한 기록과 하멜표류기에 나오는 하멜 일행의 이동거리와 시간을 분석하고 현장을 답사한 결과 표착지는 신도2리 해안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하멜표류기와 지영록의 난파 날짜(8월 16일)가 같고, 하멜표류기의 삽화와 신도2리에서 본 녹난봉과 한라산이 겹쳐 보이는 풍경이 일치하는 점 등도 신빙성을 더한다고 이들은 설명했다.

이들은 “국립제주박물관과 제주대 박물관장, 문화재 위원, 언론사 등도 신도2리가 하멜 표착지라는 데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신도2리에 표지석을 세우고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당국은 지영록은 사료적 가치는 높지만 지방사 연구나 표류, 표착 관련 연구에 이용되지 않고 있어 전문가의 자료 검토와 고증 자문을 하는 등 장기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하멜기념사업회와 신도2리 주민들은 오는 16일 오전 신도2리 도구리알 해안에서 하멜 표류 당시 파도에 휩쓸려 목숨을 잃은 네덜란드 선원 28명의 넋을 기리기 위해 하멜 표착 361주년 추모 헌다제를 연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