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 습격’ 곤충떼 95% 박멸…해남군 60㏊ 방제

‘농지 습격’ 곤충떼 95% 박멸…해남군 60㏊ 방제

입력 2014-09-01 00:00
수정 2014-09-01 12: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벼·기장 2~3㏊ 피해…해남군 발생 원인 규명 중

전남 해남군 산이면 덕호마을 앞 들녘을 습격, 피해를 안겨준 메뚜기 일종인 풀무치가 거의 박멸된 것으로 확인됐다.

1일 해남군에 따르면 ‘수십억 마리의 메뚜기떼가 농작물을 초토화한다’는 신고를 받고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친환경 약제 등을 이용, 네 차례 방제를 한 결과 95% 이상이 죽었다고 밝혔다.

군은 나머지 풀무치도 힘을 쓰지 못해 방제작업은 하지 않은 채 예찰과 함께 발생 원인 규명에 나섰다.

군은 풀무치가 대량 번식한 친환경 인증 농지 20㏊에는 친환경 약제를 살포했다. 비친환경 농지와 인근 수로 등 40㏊도 예방적 방제를 했다.

곤충떼 습격으로 벼, 기장 등이 자라던 농지 2∼3㏊가 피해를 본 것으로 군은 보고 있다.

메뚜기 과(科)인 풀무치 성충 수컷 길이는 약 4.5cm, 암컷은 6∼6.5cm로 주로 7∼11월에 많이 볼 수 있으며 갈대 등 벼과 식물을 먹이로 삼는다.

황충(蝗蟲)이라 불리는 풀무치의 몸빛깔은 주로 녹색이지만 검은색이나 갈색인 경우도 있다.

이번 풀무치 대량 번식은 올여름 마른 장마와 지난달 중순 이후 잦은 비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풀무치는 성충이 되고 나서 흙이나 모래 등에 알을 낳는데 장마철에 많은 비가 내리면 대부분 씻겨 내려간다. 그러나 올여름 장마 때 비가 많이 오지 않아 풀무치가 대량 번식한 것으로 보인다.

농약을 하지 않은 친환경 농업단지가 늘면서 번식 환경이 좋아졌고 천적인 새 개체수 감소 등도 대량 번식의 원인으로 꼽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