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신임 선출직 573명 평균재산 10억8천만원

지방선거 신임 선출직 573명 평균재산 10억8천만원

입력 2014-09-30 00:00
수정 2014-09-30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공직자윤리위 관보 게재…시도지사 11명 평균 22억3천만원

지난 6월 4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새로 선출된 공직자 573명의 평균 재산은 10억 8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6·4 지방선거 신규 당선자 573명의 재산등록사항을 30일자 관보(http://gwanbo.korea.go.kr)에 게재했다.

이번 공개 대상자는 6·4 지방선거에 새로 당선돼 재산등록 의무가 발생한 광역자치단체장 11명, 교육감 8명, 기초자치단체장 92명, 광역의회의원 462명이다.

재선에 성공한 단체장과 의원 480명은 지난 3월에 재산이 공개돼 이번 공개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신규 당선자 573명의 평균재산(배우자와 직계 존·비속 포함)은 4년 전 당선자의 평균재산 8억 8천만원보다 2억원 가량이 더 많았다.

새로 취임한 광역자치단체장 11명의 7월 1일 현재 기준 평균재산은 22억 3천만원이고 교육감은 이보다 훨씬 적은 3억 5천500만원이었다.

기초단체장 92명과 광역의회의원 462명의 평균재산은 각각 10억 7천200만원과 10억 6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시도지사 가운데 김기현(새누리당) 울산시장이 67억 4천673만3천원을 신고해 가장 재산이 많았다.

김 시장은 박원순(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장 등 재선 시도지사 6명의 지난 3월 재산공개 자료를 포함해 비교하더라도 시도지사 중 ‘최고부자’에 해당됐다.

시도지사 중 신고액수가 가장 적은 윤장현 광주시장은 8억 65만2천원을 등록했다.

교육감 중에는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9억 9천505만1천원(선거펀드 5억 4천800만원 상환 이전 기준)으로 1위였고,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재산보다 빚이 5억 6천485만원 더 많았다.

박우정(새정치민주연합) 전북 고창군수는 87억 234만2천원을 등록해 새로 당선된 기초단체장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132억 6천336만9천원을 신고한 성중기(새누리당) 서울시의원은 신규 광역의원뿐만 아니라 이번 재산 신고를 통틀어 재산 총액순위 1위에 올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11월까지 이들 573명의 등록 내용을 심사한다.

위원회는 재산 누락·과다 여부뿐만 아니라 자금출처와 취득경위 등 재산형성과정에 대해서도 심사를 벌인다.

심사 결과 오류 금액의 총합이 3억원 이상이거나, 사인간 채권·채무 등 공식적인 자료 조회가 어려운 ‘비조회성 재산’을 1억원 이상 잘못 신고한 사실이 적발되면 법에 따라 제재를 받게 된다.

신고 오류가 심각하다고 해도 선출직의 특성을 고려해 신분상의 불이익은 없으며 관할 지방법원의 판단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구3)이 주관한 ‘이차전지 폐기물의 관리 방안 및 향후 과제’ 정책토론회가 지난 17일 의회별관2동 제2대회의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전기차·가정용 전자제품·ESS의 확산으로 폐이차전지 발생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안전·환경·자원순환 측면에서 어떤 선제 대응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 대안을 모색한 자리였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이 의원이 발의한 ‘서울시 폐기물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차전지 폐기물 관리 조항 신설)’의 후속 정책 논의라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가 컸다. 이 의원은 개회사에서 “이차전지 폐기물 문제는 더 이상 기술적·환경적 이슈에 머무르지 않는다”며 “서울의 안전, 자원 안보, 미래 산업 경쟁력까지 좌우하는 핵심 의제인 만큼 선제적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의회 김인제 부의장, 성흠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임만균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이 축사를 통해 토론회의 필요성과 서울시 차원의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발제는 두 개 분야로 진행됐다. 정미선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장은 ‘서울시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 방안 및 국내 동향’ 주제로 전용 안심수거함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