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라면, 과자 등 가공식품 업체들의 상품 가격 담합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23일 공정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라면, 과자 제조·판매사들이 상품 가격을 인상하기로 담합했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 중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미 1차 현장 조사를 마무리했고, 앞으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로 조사할 수도 있어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체들의 담합 의혹이 불거진 것은 라면, 과자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료값이 싸졌는데도 가공식품 가격은 오히려 뛰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월 대비 지난달 해외 곡물 가격은 ▲옥수수 47.1% ▲소맥 20.3% ▲대두 19.4% 등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환율 역시 달러당 1160원대에서 1020원대로 떨어졌다.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로 표시되는 수입품 가격도 낮아진다.
반면 가공식품 물가는 2012년 4.6%, 2013년 3.0% 올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2.2%, 1.3%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승 폭이 과한 셈이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3일 공정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라면, 과자 제조·판매사들이 상품 가격을 인상하기로 담합했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 중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미 1차 현장 조사를 마무리했고, 앞으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로 조사할 수도 있어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체들의 담합 의혹이 불거진 것은 라면, 과자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료값이 싸졌는데도 가공식품 가격은 오히려 뛰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월 대비 지난달 해외 곡물 가격은 ▲옥수수 47.1% ▲소맥 20.3% ▲대두 19.4% 등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환율 역시 달러당 1160원대에서 1020원대로 떨어졌다.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로 표시되는 수입품 가격도 낮아진다.
반면 가공식품 물가는 2012년 4.6%, 2013년 3.0% 올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2.2%, 1.3%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승 폭이 과한 셈이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4-10-2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