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 7개 교육청도 외면한 장애인 의무고용

국회도, 7개 교육청도 외면한 장애인 의무고용

입력 2014-10-31 00:00
수정 2014-10-31 0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8% 미만… 3% 의무 못 미쳐

모범을 보여야 할 국회와 교육청, 국내 30대 기업의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1년에 두 차례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낮은 기관의 명단을 공개하고 있는데, 국회와 교육청 7곳뿐만 아니라 30대 기업집단 소속 계열사 91곳 중 72곳이 2회 연속 공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장애인 의무고용제도가 겉돌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부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과 1.3% 미만인 국가·지방자치단체·민간기업 등 총 1685곳의 명단을 30일 공개했다. 현행법상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3% 내외로 규정돼 있지만, 명단이 공표된 기관들은 가까스로 의무고용률의 절반 정도만 이행했다.

공표 대상 중 민간기업은 총 1670곳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1000명 이상 대기업은 149곳에 달했다. 30대 기업의 경우 6개 기업(동국제강·두산·삼성·한화·한국지엠·에쓰오일)을 제외한 24개 기업집단의 계열사 91곳이 포함됐다. 공표 대상에 가장 많은 계열사가 포함된 기업은 포스코·GS·동부(7곳)였다. 국가와 자치단체 중에서는 국회(고용률 1.47%)와 7개 교육청(서울·경기·인천·충남·세종·부산·대구)이 명단 공표 대상에 포함됐다.

대기업 대부분이 장애인 고용을 외면하는 이유는 의지 문제도 있겠지만 장애인 적합 직무 개발 노력을 하지 않은 탓도 크다.

국회는 국회의원들 탓이 크다. 국회 사무처 관계자는 “사무처는 장애인 의무고용률 3%를 달성했지만, 국회의원 보좌직원 2100명 가운데 장애인은 4명(0.2%)밖에 없어 전체 고용률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보좌직원은 국회의원이 직접 채용한다. 교육청은 장애인 교사 채용률이 낮아 명단에 올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원자격증을 가진 장애인이 워낙 적어 원서 접수 단계에서부터 미달되는 경우가 많다”고 울상을 지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10-3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