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로 타격’ 강남인강, 수능교육 포기…폐지론 고개

‘EBS로 타격’ 강남인강, 수능교육 포기…폐지론 고개

입력 2014-11-09 12:00
수정 2014-11-09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때 수험생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으나 대입 수학능력시험 EBS 70% 연계 출제 이후 운영에 큰 타격을 입은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 강의’(강남인강)가 좀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강남구는 어렵사리 강남인강의 개혁안을 만들었지만 이마저도 최근 구의회에서 부결됐다. 수능교육을 사실상 포기하고 내신관리 위주로 바꾸자는 취지였지만, 일부 의원들이 강남인강을 아예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결과다.

9일 강남구 관계자들에 따르면 강남구의회는 지난달 17일 구청장 발의로 임시회에 상정된 ‘강남구 인터넷수능강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만장일치로 부결했다.

개정안의 골자는 ‘인터넷수능강의’란 표현을 ‘인터넷강의’로 변경하는 등 수능 위주였던 강남인강을 내신 및 개념 강좌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것이었다.

강남인강은 2010년 3월 정부가 수능 시험문항의 70% 이상을 EBS 교재에 바탕을 두고 출제하겠다고 밝히면서 경쟁력이 떨어졌다.

구 관계자는 “예전에는 수능 대비 방송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EBS 연계 출제 이후 상황이 달라졌고, 정시보다 수시 비중이 커지면서 내신관리로 중점을 옮길 필요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개정안은 2009년 이후 한 번도 인상되지 않았던 가입비를 현행 3만원에서 5만원으로 대폭 인상해 적자 폭을 줄인다는 내용도 담고 있었다.

그러나 강남구의회는 이러한 방안이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봤다.

강남인강을 계속 존속시킬지부터 사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구의원은 “인터넷 동영상 강의는 EBS를 봐야 대학에 갈 수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학생들이 강남인강을 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데 연간 15억원씩 적자를 내가며 유지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EBS에서 수능 70%를 연계해 출제한다니까 우리 수강생들이 다 빠져나간 것 아니냐”면서 “단순히 해결될 문제가 아닌 만큼 이제는 접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강남구청은 아직 폐지론을 거론할 단계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구청 관계자는 “강남인강은 저소득층 자녀나 도서벽지의 학생에게도 강남권 우수 강사들의 강의를 제공해 교육기회 불균등 현상을 완화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사업”이라며 “적자가 난다고 당장 없애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구청 측은 내년 초 구의회 지적사항을 반영한 강남인강 관련 조례 개정안을 재차 구의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구청 관계자는 “내신 위주로 간다는 큰 틀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인강은 2004년 우수한 강의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해 사교육비를 절감하자는 취지로 출범해 선풍적 인기를 끌었지만, 2010년 수능 EBS 70% 연계 출제 방침이 확정되면서 26만 5천 명까지 올라갔던 회원 수가 10만 명대 초반까지 급감한 상태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