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새달 10일 시상
‘탈북자의 아버지’로 불리며 러시아에 사는 탈북자 등을 대상으로 의료 선교 활동을 하다가 의문의 살해를 당한 선교사 이주헌(당시 60세)씨가 올해의 인권상을 받게 됐다. 외국 국적을 가진 동포로는 두 번째다.
故이주헌씨
2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이씨는 세계 인권선언의 날 66주년을 맞는 다음달 10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리는 ‘2014 대한민국 인권상’ 시상식에서 개인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대한민국 인권상은 인권위가 인권 보호와 향상에 공헌했다고 인정한 단체와 개인에게 주는 상이다.
1935년 황해 남천에서 태어난 이씨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1972년부터 버지니아주에서 심장내과 전문의로 일했다. 같은 해 간호사였던 이계월씨와 결혼한 뒤 1992년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에서 가난한 현지인들과 탈북 벌목공들을 치료했다. ‘시베리아의 관문’ 하바롭스크는 중국의 헤이룽강이 통과하는 지역으로 1960년대부터 북한 벌목공들이 들어와 한때 수만명에 이르기도 했다. 이씨 부부는 탈북자들의 은신처를 찾아 질병을 치료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던 중 이씨 부부는 1995년 3월 아파트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유력한 살해 용의자였던 북한 벌목공 송모씨가 북한으로 돌아가버려 사건은 미궁에 빠지고 말았다. 이씨 부부의 시신은 버지니아주 노폭 우드랜드 공동묘지에 나란히 안치돼 있다.
인권위 관계자는 “미국으로 이주하는 국내 동포들의 정착을 도와주고, 러시아에서 의료 선교사로서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 점이 인정됐다”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11-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