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BIFF) 조직위의 방만한 운영 실태가 부산시 지도점검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연합뉴스가 최근 4년간 영화제 조직위에 대해 벌인 부산시의 지도점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주먹구구식 운영’ 그 자체였다.
직원을 채용하면서 공개경쟁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전문위원을 부적절하게 고용했다가 시 점검에서 지적받았다.
전문성과 경험을 선발 기준에 포함해야 영화제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투명해야 할 직원 채용절차가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부산시의 지적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또 서울사무소에 근무해야 할 직원이 한 달에 20일을 부산에 내려와 있으면서 출장비를 받았고, 어떤 직원은 ‘품위유지비’라는 명목으로 부적절한 수당을 받기도 했다.
한 간부는 특정 영화 촬영장에 들어 스태프에게 영화제 예산으로 수백만원어치 밥을 사기도 했다.
수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옥외 홍보물을 설치할 때는 해당 업체에 애초 계약보다 많은 돈을 주면서 설계와 금액변경 등에 관한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초대한 영화제 손님이 개인 사정으로 부산을 찾지 않으면 조직위는 당연히 객실 예약을 취소해 손실을 줄여야 하는데도 그런 노력을 하지 않아 위약금을 고스란히 물어주기도 했다.
일부 점검 내용은 2011년에도 지적된 사안이었지만 개선되지 않았다.
지난해 부산영화제 예산은 121억5천만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시예산과 중앙정부 지원금이 75억1천만원에 달한다.
영화제 도약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전용관에도 1천억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됐다.
세금이 투입되면 조직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규정과 관리자의 책임도 따르게 마련이다.
시는 최근 지도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관 영화제 집행위원장의 사퇴를 권고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난해 영화제 때 조직위가 부산시의 요구를 무시하고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을 강행한 데 따른 보복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했다.
조직위도 “지도점검에서 나온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내놓으라는 공식적인 요구를 받은 바 없으며, 지도점검의 후속조치가 예년과 달라 그 배경에 의문이 든다”며 이 위원장에 대한 시의 사퇴권고에 반발했다.
영화계도 일제히 부산시를 비난했다.
지도점검에 따른 쇄신안 마련을 요구하기도 전에 위원장부터 쫓아내겠다는 시의 시도는 무리했다는 비난을 받을 만했다.
하지만 영화제와 오랜 세월 함께 해 온 직원들의 공을 고려하더라도 지도점검의 내용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올해로 20회째, 약관의 나이에 접어든 영화제 조직위가 시의 조치에 반발하기보다는 쇄신안부터 먼저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지도점검 내용에 고스란히 나타났다.
이달 9일 영상벤처센터에서 열리는 ‘부산국제영화제 미래비전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 조직위가 어떤 쇄신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가 최근 4년간 영화제 조직위에 대해 벌인 부산시의 지도점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주먹구구식 운영’ 그 자체였다.
직원을 채용하면서 공개경쟁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전문위원을 부적절하게 고용했다가 시 점검에서 지적받았다.
전문성과 경험을 선발 기준에 포함해야 영화제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투명해야 할 직원 채용절차가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부산시의 지적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또 서울사무소에 근무해야 할 직원이 한 달에 20일을 부산에 내려와 있으면서 출장비를 받았고, 어떤 직원은 ‘품위유지비’라는 명목으로 부적절한 수당을 받기도 했다.
한 간부는 특정 영화 촬영장에 들어 스태프에게 영화제 예산으로 수백만원어치 밥을 사기도 했다.
수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옥외 홍보물을 설치할 때는 해당 업체에 애초 계약보다 많은 돈을 주면서 설계와 금액변경 등에 관한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초대한 영화제 손님이 개인 사정으로 부산을 찾지 않으면 조직위는 당연히 객실 예약을 취소해 손실을 줄여야 하는데도 그런 노력을 하지 않아 위약금을 고스란히 물어주기도 했다.
일부 점검 내용은 2011년에도 지적된 사안이었지만 개선되지 않았다.
지난해 부산영화제 예산은 121억5천만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시예산과 중앙정부 지원금이 75억1천만원에 달한다.
영화제 도약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전용관에도 1천억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됐다.
세금이 투입되면 조직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규정과 관리자의 책임도 따르게 마련이다.
시는 최근 지도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관 영화제 집행위원장의 사퇴를 권고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난해 영화제 때 조직위가 부산시의 요구를 무시하고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을 강행한 데 따른 보복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했다.
조직위도 “지도점검에서 나온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내놓으라는 공식적인 요구를 받은 바 없으며, 지도점검의 후속조치가 예년과 달라 그 배경에 의문이 든다”며 이 위원장에 대한 시의 사퇴권고에 반발했다.
영화계도 일제히 부산시를 비난했다.
지도점검에 따른 쇄신안 마련을 요구하기도 전에 위원장부터 쫓아내겠다는 시의 시도는 무리했다는 비난을 받을 만했다.
하지만 영화제와 오랜 세월 함께 해 온 직원들의 공을 고려하더라도 지도점검의 내용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올해로 20회째, 약관의 나이에 접어든 영화제 조직위가 시의 조치에 반발하기보다는 쇄신안부터 먼저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지도점검 내용에 고스란히 나타났다.
이달 9일 영상벤처센터에서 열리는 ‘부산국제영화제 미래비전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 조직위가 어떤 쇄신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