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미생’에서 ‘장그래’로 분해 우리 사회 비정규직을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떠오른 임시완이 공익광고 한편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임시완과 황정민을 모델로 기용한 고용노동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 광고.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임시완과 황정민을 모델로 기용한 고용노동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 광고.
임시완은 지난 19일부터 이 광고에 출연했다. 광고 속에서 드라마 속 장그래 복장을 한 임시완은 영화 ‘국제시장’의 주인공인 배우 황정민과 어깨동무를 하고 있다. 이 광고는 ‘노사정 대타협으로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이루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문제는 ‘노동시장 구조개혁’이 담고 있는 진짜 의미다. ‘노동시장 구조개혁’이란 말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내놓은 비정규직 종합대책안 시행을 의미한다. 이 대책안에는 ‘35세 이상 비정규직 사용 기간을 2년에서 4년으로 연장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노동계에서 ‘비정규직 양산법’ 또는 ‘장그래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노사정은 3월 안에 노동시장 구조개선 합의안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재 비정규직, 통상임금 등에서 이견을 보이며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정규직의 아이콘으로 대변되는 장그래 역을 맡았던 임시완이 논란이 된 정부 정책을 홍보하게 된 셈이다.
더구나 ‘미생’ 원작자인 윤태호 작가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장그래 살리기 운동본부’에 만화 장그래 캐릭터 사용을 기꺼이 허락한 상태다. 만화 ‘장그래’와 드라마 ‘장그래’가 서로 대척점에 선 것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