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세계물포럼 폐막
대구·경북에서 열린 ‘제7차 세계물포럼’이 6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7일 폐막했다. 세계 물 전문가들이 물 문제 해법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하고 국제사회가 협력을 약속하는 등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역대 최대 규모인 400여개의 세션이 열려 물 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한 의지를 반영하기도 했다.100여개국 각료급 인사들은 ‘제7차 세계물포럼 각료선언문’을 채택, 국제사회의 최대 관심 현안에 물 문제가 중요 이슈로 다뤄지도록 공동의 메시지를 모아야 한다는 데 공감을 표시했다. 국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목표에 물과 위생을 단독 목표로 포함시킬 것을 지지했다.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물 문제 해결이 중심이 된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을 포함한 새로운 기후협상 타결을 촉구하기로 했다. 한국과 중국, 일본 3국도 이번 물포럼에서 수자원 정책 혁신을 위한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국내 물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국가 간 논의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특히 한국수자원공사의 스마트 물관리 기법은 세계 각국 전문가들의 이목을 끌었다.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돕는 자리도 됐다.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와 해수담수화 공동연구를 포함한 수자원 협력, 수자원 및 건설·플랜트 분야의 제3국 공동 진출 방안이 논의됐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4-1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