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할 수 있다” 희망을 심어 주는 사람들] “열정은 프로… ‘까치발’ 축구도 마다 않죠”

[“우리도 할 수 있다” 희망을 심어 주는 사람들] “열정은 프로… ‘까치발’ 축구도 마다 않죠”

최선을 기자
입력 2015-04-19 23:40
수정 2015-04-20 0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뇌성마비축구단 윤정열씨

“장애인들이 어떻게 축구 대회를 하냐고요? 직접 와서 보면 열정에 놀라실 걸요.”

한국 장애인 축구인 1세대로 꼽히는 윤정열(56) 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축구단 코치는 이렇게 말하며 환하게 웃었다. 윤씨는 오는 24일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주최로 열리는 ‘제22회 전국뇌성마비인 축구대회’를 앞두고 선수들과 함께 막바지 맹훈련을 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지만 올해는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각오에 찬 눈을 반짝였다.

이미지 확대
서울뇌성마비축구단 윤정열씨
서울뇌성마비축구단 윤정열씨
20여 년의 선수생활을 마감한 뒤 2008년부터 코치로 활약 중인 윤씨는 지금도 축구에 대한 열정은 그 누구보다 강하다. 태어날 때부터 뇌병변 2급 장애를 앓아 열 살까지는 어머니 등에 업혀 등·하교 했던 윤씨가 ‘삶의 재미’를 찾은 곳이 바로 축구였기 때문이다. “뛰고 부딪치고 넘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이게 바로 인생이구나’라고 느끼게 된 것 같아요. 방과 후 친구들과 운동장을 뛰어다니면서 성격도 더 활발해졌으니, 축구가 곧 제 인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윤씨는 1988년 서울장애인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에 발탁되면서 축구선수로서의 인생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뇌성마비장애인 청년모임 ‘청우회’에 축구부를 창단하기도 했다. 목 디스크가 심해져 더이상 축구장을 누빌 수 없는 점이 아쉽다는 윤씨는 “보통 뇌성마비 장애인들은 휠체어를 탄다고 생각하지만 언어장애만 있어 뛰는 데 어려움이 없거나 한쪽만 마비돼 발 뒤꿈치를 들고 일명 ‘까치발’로 경기하는 선수들도 많다”면서 “선수들끼리 몸싸움도 격렬해 입술이 찢어지는 정도의 부상은 비일비재하다”고 설명했다. 주말마다 축구장에서 살다시피 하던 윤씨는 최근 ‘글쓰기’에 푹 빠졌다. 어렸을 때부터 글 쓰는 걸 좋아했다는 윤씨는 마침 올해 대학에 들어가는 아들과 함께 공부를 해 보자는 생각으로 지난달 한국방송통신대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이번 대회가 끝나면 곧바로 중간고사라 틈틈이 공부도 하고 있다”며 웃었다. 윤씨는 오래 전부터 경기에 임하는 각오와 결과에 대한 희노애락을 글로 남겼다. 그는 “졸업 후 축구에 관해 쓴 에세이들을 모아 책으로 내고 싶다”고 포부도 밝혔다. 이어 “내가 축구를 하며 인간관계를 배우게 된 것처럼 자라나는 장애 청소년들도 운동을 통해 내적 자아의 성장을 경험해 봤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4-2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