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대 운영비 횡령 등 각종 의혹으로 국방부 감사 대상이 된 최차규 공군참모총장이 과거 부처 파견 당시 배정받은 관사를 파견 종료 후에도 무단 사용했다는 주장이 또 나왔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7일 센터가 입주한 서울 마포구 이한열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 총장이 중령이던 1996∼1997년 재정경제원 파견 때 제공된 관사를 공군 원대복귀 후에도 수년간 무단 사용했다”고 말했다.
임 소장은 “당시 최 총장은 공군 원복 후 비행대대에서 제공한 관사가 있었음에도 해당 관사를 이중으로 사용했다”며 “관사는 경기도 과천에 있어 수도권을 선호하는 여타 장교들과 형평에도 어긋나는 특혜였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최 총장 아들이 클럽에 다닐 때뿐 아니라 출퇴근할 때도 관용차를 썼고, 최 총장 부인은 2013년 백신 공급 부족으로 조종사 등 특수근무자에게만 예방접종이 가능했을 때도 의무대에서 막무가내로 접종받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앞서 지난 4일 국방부는 최 총장과 관련해 최근 언론에서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감사에 착수했다면서 “이번 감사는 회계 분야 감사”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7일 센터가 입주한 서울 마포구 이한열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 총장이 중령이던 1996∼1997년 재정경제원 파견 때 제공된 관사를 공군 원대복귀 후에도 수년간 무단 사용했다”고 말했다.
임 소장은 “당시 최 총장은 공군 원복 후 비행대대에서 제공한 관사가 있었음에도 해당 관사를 이중으로 사용했다”며 “관사는 경기도 과천에 있어 수도권을 선호하는 여타 장교들과 형평에도 어긋나는 특혜였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최 총장 아들이 클럽에 다닐 때뿐 아니라 출퇴근할 때도 관용차를 썼고, 최 총장 부인은 2013년 백신 공급 부족으로 조종사 등 특수근무자에게만 예방접종이 가능했을 때도 의무대에서 막무가내로 접종받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앞서 지난 4일 국방부는 최 총장과 관련해 최근 언론에서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감사에 착수했다면서 “이번 감사는 회계 분야 감사”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