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한 해 5만명씩 줄어… 내년 말 1000만명 선 무너질 듯

서울 시민 한 해 5만명씩 줄어… 내년 말 1000만명 선 무너질 듯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15-05-17 23:42
수정 2015-05-18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4년간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가 연평균 5만명씩 줄어들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내년 말쯤 서울 주민등록 인구 100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서울시 주민등록 인구는 1010만 3233명이다. 2010년 말 1031만 2545명에서 4년 만에 2.03%인 20만 9312명이 감소했다. 전국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는 데다 인근 도시로의 전출이 전입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주민등록 인구는 행자부 주민등록 시스템에 등록된 인구를 말한다. 그러나 전체 주민등록 인구에서 ‘거주불명자’와 단기간 체류하는 ‘재외국민’을 뺀 서울의 실거주 인구를 따지면 이미 2013년 말 998만 9672명으로 1000만명 선이 붕괴됐다. 반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체를 통틀어 주민등록 인구는 같은 기간 2485만 7463명에서 2536만 3671명으로 2.04% 늘었다.

경기도의 지난해 말 주민등록 인구는 1235만 7830만명으로 2010년보다 57만 1208명(4.85%), 인천시도 290만 2608명으로 14만 4312명(5.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5051만 5666명에서 5132만 7916명으로 81만 2250명(1.61%) 늘었다.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한 전국 실거주 인구는 지난해 기준 5042만 3955명으로, 주민등록 시스템에 등록된 인구와는 차이가 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5-1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