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목항서 광화문까지’ 111일 삼보일배 대장정 마무리

‘팽목항서 광화문까지’ 111일 삼보일배 대장정 마무리

입력 2015-06-13 21:39
수정 2015-06-13 2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희생 학생 가족 등 세월호 순례단…”별이 된 아이들, 모두 잊고 편히 살길”

이미지 확대
100배 하는 세월호 삼보일배 순례단
100배 하는 세월호 삼보일배 순례단 세월호 삼보일배 순례단이 13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희생자 단원고 이승현군의 아버지 이호진씨의 인도에 따라 세월호 희생자들에게 100배를 하고 있다. 2015.6.13
연합뉴스
”내 한 몸 바치면 이 땅의 엄마 아빠들이 아이들의 희생을 생각해주시겠지 하는 마음으로 삼보일배를 시작했습니다.”

13일 오후 3시 35분 광화문광장에 도착한 이호진(57)씨. 딸 아름양과 함께 올해 2월 23일 전남 진도 팽목항을 출발해 111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한 순간이었다.

이씨는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2학년 8반 고(故) 이승현군의 아버지다. 세월호의 조속한 인양을 촉구하며 팽목항에서 서울까지 삼보일배 고행을 했다.

이들 부녀와 시민 300여명으로 구성된 ‘세월호 삼보일배 순례단’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역광장을 출발해 광화문광장까지 삼보일배하며 이동했다.

순례단은 ‘반면교사’라고 쓰인 돛을 단, 길이 15m·너비 2m·높이 2.2m의 세월호 모형 배를 수레로 운반하며 한 걸음씩 발을 뗐다.

지난해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에게서 세례를 받은 이씨는 “작년에 세월호 사고를 알려야겠다는 일념으로 교황님을 만나 세례를 받았다”며 “이번 삼보일배로 모든 부모가 아이들의 희생을 알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씨를 비롯한 순례단은 세월호 희생자들에게 백배사죄한다는 의미에서 100번의 절을 하는 것으로 삼보일배를 마무리했다.

이씨는 “별이 된 아이들이 가고 싶은 곳으로 가서 이 세상에서 있었던 일을 모두 잊고 편히 살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집회에는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과 박재동 화백 등도 참석했다.

곽 전 교육감은 “일보 일보를 걸어 1천500리 길을 걸었고 일배 일배를 올려 30만배를 쌓는 과정에서 시민과 지역 주민이 힘을 보탰다”며 “삼보일배는 가장 평화적이고 비폭력적이지만 가장 강한 저항”이라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장애동행치과 접근성 개선·영유아 건강관리 사업 통합 필요성 제기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동대문4)은 지난 13일 시민건강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일부 장애동행치과가 장애인 편의시설 미비, 진료 가능한 연령 기준이 달라 실제 이용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또한 영유아 가정 건강관리 사업의 대상과 목적이 유사한 만큼, 보다 효율적인 통합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서울시가 올해 25개 전 자치구에 총 60개소의 장애동행치과를 확대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하여, “동행치과 확대는 환영할 말한 일이지만, 60개소가 지정되었다는 사실만으로 장애인들 모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자료 검토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신 의원은 “60개소 중 휠체어가 들어가기 어려운 진입로,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치과들이 적지 않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편의시설 미비로 인해 ‘지정은 되어 있지만 실제 이용이 곤란한’ 치과가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했다. 아울러 일부 치과는 성인만 또는 아동만 진료하거나, 6대 장애유형 중 특정 장애는 진료가 불가한 점 등 진료 기준이 통일되지 않아 장애인이 본인의 상태에 맞는 치과를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장애동행치과 접근성 개선·영유아 건강관리 사업 통합 필요성 제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