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대국민사과 후 계속 줄어…남산터널 교통량도 ‘뚝’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버스와 지하철 등 서울 대중교통 이용객도 눈에 띄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평일보다는 주말에, 출·퇴근시간보다는 낮·저녁시간에 승객이 많이 줄어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타지 않겠다’는 시민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17일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일요일이었던 14일 대중교통 이용객은 569만 8천명을 기록했다. 이는 메르스 우려가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5월31일 일요일에 비하면 159만 9천명, 약 21.9% 감소한 것이다.
5월31일은 보건복지부가 격리대상자 급증을 이유로 대국민 사과를 한 날이다. 메르스에 대한 우려는 이날을 기점으로 본격화하기 시작했고, 6월4일 서울시가 심야 긴급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면서 사회 전반으로 확산했다.
교통 수단별로 보면 버스 승객은 이달 14일이 5월31일보다 80만 7천명(20.5%), 지하철 승객은 79만 2천명(23.6%) 줄었다.
이에 따라 운송수입금도 버스가 5억 9천만원, 지하철이 6억 5천만원 줄 것으로 예상됐다.
남산 1·2·3호 터널의 교통량도 이달 14일에는 11만 662대에 그쳐 5월31일보다 1만 4천28대, 약 11.3% 감소했다. 차량 감소로 도심 통행속도는 5월31일 26.4km/h에서 이달 14일 28.4km/h로 7.6% 빨라졌다.
평일인 15일(월요일)의 대중교통 이용객도 주말만큼은 아니지만 평소보다 많이 줄었다.
15일 대중교통 승객은 1천81만 8천명으로 5월 다섯째주 평일 평균보다 182만명, 약 14.4% 감소했다.
교통 수단별로는 버스 승객은 같은 기간 93만 2천명(14.1%), 지하철 승객은 88만 8천명(14.7%) 줄었다.
이에 따라 운송수입금도 버스가 6억 8천만원, 지하철이 7억 2천만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산 1·2·3호 터널의 15일 교통량은 13만 5천971대로 5월 다섯째주 평일 평균보다 1만 2천792대, 약 8.6% 줄었다. 도심 속도는 18.6km/h에서 21.1km/h로 13.4% 향상됐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는 “출퇴근과 등하교 등 수요가 집중된 평일보다는 나들이, 쇼핑 등 탄력성이 큰 주말에 대중교통 이용객 감소폭이 더 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