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차라리 메르스 걸렸으면 좋겠어…치료도 밥도 나라에서 다 해주잖아”

“난 차라리 메르스 걸렸으면 좋겠어…치료도 밥도 나라에서 다 해주잖아”

이슬기 기자
입력 2015-06-17 23:22
수정 2015-06-18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소득 소외계층의 푸념

“메르슨지, 메리야슨지 내가 걸렸으면 좋겠어. 나라에서 치료고 밥이고 다 해 주잖아. 나처럼 못사는 사람만 이 난리통에 고생이지.”

17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종로3가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 탑골공원 뒤에 위치한 이 급식소에는 공원 담벼락을 따라 70여명의 노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줄을 섰다. 배식을 받을 때까지 40분을 기다려야 했다.

강모(71)씨는 “몹쓸 병 때문에 밥 주는 곳(무료 급식소)만 문을 닫았다. 식당에 가면 최소 3000원은 줘야 하는데 나같이 없는 사람은 어디서 (밥을) 먹으란 말이냐”고 분통을 터트렸다. 옆에 있던 김모(82)씨가 맞장구쳤다. “메르스 터지고 나서 (돈) 있는 사람들은 (탑골)공원 안 와요. 집에서 자식들이 가지 말라 하니까. 우리처럼 혼자 사는 노인들이나 와서 앉아 있는데 밥 먹기도 힘들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노인, 장애인, 일용직 종사자 등 저소득 소외 계층의 삶도 팍팍해지고 있다. 무료 급식소와 사회복지시설에는 메르스 감염을 걱정한 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끊겼고 일용직은 일거리가 없어 허덕이고 있다.

이날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의 점심시간에는 노인 260여명이 찾아왔다. 평소 130여명보다 두 배 정도 늘어난 수치다. 메르스 사태로 탑골공원 인근 무료 급식소 2군데가 문을 닫은 탓이다.

고영배(45) 원각사 사무국장은 “점심 한 끼를 먹기 위해 오전 7시부터 나오는 할아버지도 있다”며 “평상시 7~8명 정도인 자원봉사자가 메르스 이후 1명, 2명에 불과해 앞으로 어르신들을 어떻게 감당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지적 장애 아동 50명이 생활하는 서울의 한 사회복지시설에는 매주 20여명으로 북적거리던 자원봉사자가 급감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방문을 자제하고 있다.

주말마다 아이들과 자원봉사자가 일대일로 나들이를 가는 프로그램도 취소됐다. 시설 관계자는 “대학 동아리나 회사에서 단체로 오던 자원봉사자들이 찾지 않고 있고, 혹시 시설 내 감염자가 생길까 자체적으로 매일 발열 체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용직 업계는 메르스 사태를 온몸으로 체감하고 있다. 서울 구로구의 한 인력사무소 관계자는 “최근 메르스의 영향으로 아파트에 외부 사람 들이기를 꺼려 파출부 일자리는 씨가 말랐다”면서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사람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는 취업 준비생들도 마찬가지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에 따르면 메르스 사태가 터진 후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0일까지 뷔페, 연회장 직종 공고 건수는 2주일 전과 대비해 8% 줄었다. 영화, 공연, 전시 직종 모집도 5% 줄었다. 알바천국 관계자는 “각종 축제나 단체 행사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아르바이트 채용이 확연히 줄고 있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6-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