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종식 선언] “끝났다고요? 일상은 꿈도 못 꿔요”

[메르스 종식 선언] “끝났다고요? 일상은 꿈도 못 꿔요”

조용철 기자
입력 2015-07-29 00:32
수정 2015-07-29 0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병 한번 못 하고 어머니 떠나보낸 딸의 하소연

윤정희(30·여·가명)씨는 메르스가 맹위를 떨치던 지난달 17일 엄마를 잃었다. 5월 19일 대상포진으로 경기 평택성모병원에 들렀다 메르스에 감염된 어머니는 홀로 격리병동에서 숨을 거뒀다. 어머니가 숨지기 닷새 전 자가 격리 조치에서 해제된 윤씨는 끝내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게 한으로 남았다.

●“왜 대처가 그렇게 늦었는지 의아하다” 분통

“기자들이 찍어 신문에 나온 사진 속 엄마의 모습이 생전 마지막일 줄은 진짜 몰랐어요.”

28일 서울신문과 만난 윤씨는 이제 눈물도 마른 듯했다. “다른 사람들은 다 일상으로 돌아갔지만 우리 가족은 아직도 메르스에 묶여 있어요. 집안에 우울과 침묵뿐인 상황이 너무나 견디기 힘드네요.”

윤씨는 어머니가 메르스를 이겨 낼 줄 알았다. 평소 건강했기 때문이다. “돌아가시기 며칠 전부터 병원에서 위독하다고 했어요. 산소를 못 받아들이니까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그럼 가족들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만나게 해 줘야 했던 것 아닌가요.”

숨을 거둔 어머니와의 마지막 만남은 두꺼운 방진복을 입은 채 영안실에서 이뤄졌다. “한 명만 영안실에 들어갈 수 있다고 식구들을 가로막아 울다 울다 결국 아버지랑 둘이 들어갔어요. 보호 장갑을 낀 손으로 엄마의 손을 어루만지면서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그 말만 했어요.”

●“어머니 돌아가셨는데… 정부 사과해야”

윤씨 어머니는 장례업체들에도 냉대를 당했다. 메르스 사망자라는 이유로 장례식마저 거부당했다. “무슨 질병으로 돌아가셨냐고 묻더라고요. 메르스라고 하니까, 그러면 안 된다고 전화를 끊어 버리고….”

결국 어머니는 사망 당일 화장해 그날 저녁 평택의 한 추모공원에 안장됐다. 윤씨가 어머니의 죽음을 받아들이기에 그 하루는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정부를 향해 하고 싶은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 ‘밉다’는 말만 반복하던 그녀는 정부의 제대로 된 사과를 요구했다. “아직도 저는 어떻게 엄마가 감염됐는지도 모르고, 대처가 왜 늦었는지도 모릅니다. 유가족한테 사과도 없었어요.” 메르스는 끝났지만 윤씨는 여전히 진실을 알지 못하고 그 누구로부터 따뜻한 위로도 받지 못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7-2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