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안 해역에 적조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거제시 저구리 연안 가두리양식장에서 발생한 집단폐사 어류는 모두 3만3천마리인 것으로 확인됐다.
거제시는 적조 피해 신고 접수후 지난 17일 하루동안 손해사정인 등의 입회 하에 물 위로 떠오른 폐사 어류에 대한 파악에 나서 이날 오전 현재 폐사 어류 규모를 이처럼 파악했다고 18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물 속에 가라앉아 있는 어류가 떠오르면 폐사 어류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6일 저구리 연안 3곳의 가두리양식장 어민들은 어류 일부가 폐사해 물 위로 떠오른 것을 확인하고 면사무소에 확인 작업을 요청했다.
이들 어민들은 가두리양식장에서 참돔 등 최소 수 만마리씩의 어류가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신고했다.
이들의 폐사 신고 규모를 모두 합하면 집단폐사 추정 규모는 33만여마리에 달한다.
시 관계자는 “어민들의 폐사 신고는 추정치”라며 “정확한 피해 규모는 일정 시간이 지나야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당국은 17일 수거한 3만3천마리를 저구항 일대 매립지에 매립했다.
연합뉴스
거제시는 적조 피해 신고 접수후 지난 17일 하루동안 손해사정인 등의 입회 하에 물 위로 떠오른 폐사 어류에 대한 파악에 나서 이날 오전 현재 폐사 어류 규모를 이처럼 파악했다고 18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물 속에 가라앉아 있는 어류가 떠오르면 폐사 어류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6일 저구리 연안 3곳의 가두리양식장 어민들은 어류 일부가 폐사해 물 위로 떠오른 것을 확인하고 면사무소에 확인 작업을 요청했다.
이들 어민들은 가두리양식장에서 참돔 등 최소 수 만마리씩의 어류가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신고했다.
이들의 폐사 신고 규모를 모두 합하면 집단폐사 추정 규모는 33만여마리에 달한다.
시 관계자는 “어민들의 폐사 신고는 추정치”라며 “정확한 피해 규모는 일정 시간이 지나야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당국은 17일 수거한 3만3천마리를 저구항 일대 매립지에 매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