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대학 수시모집 마감…경쟁률 대체로 상승

서울 주요대학 수시모집 마감…경쟁률 대체로 상승

입력 2015-09-12 20:40
수정 2015-09-12 2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려대 23.6대 1, 이화여대 16.4대 1, 한양대 31.6대 1성균관대 의예과 201.9대 1 등 의예과 가장 높아

고려대, 이화여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서울 지역 주요 대학이 12일 201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주요대학의 수시모집 경쟁률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오르내리는 수준이었다. 전형별로는 논술 시험을 보는 전형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모집단위별로는 의과대학이 대체로 가장 높았다.

고려대 안암캠퍼스는 2천989명 모집에 7만646명이 몰려 전체 경쟁률 23.6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년도 23.04대 1보다 경쟁률이 소폭 상승했다.

전형별로는 1천110명을 선발하는 일반전형에 5만3천350명이 지원해 48.06대 1을 기록했고, 기회균등특별전형(사회공헌자2)이 23.25대 1, 융합형인재전형 17.77대 1, 기회균등특별전형(농·어촌학생) 11.91대 1, 기회균등특별전형(사회배려자) 8.51대 1 등의 순이었다.

모집단위별로는 일반전형 의과대학이 113.22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화공생명공학과(73.21대 1), 산업경영공학부(64.44대 1), 기계공학부(63.61대 1), 수학교육과(62.09대 1), 미디어학부(61.91대 1) 등이 뒤따랐다.

이화여대는 1천892명을 뽑는 수시모집에 3만1천29명이 지원해 16.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년도 15.9대 1과 견줘 소폭 올랐다.

전형별로는 각각 550명씩을 뽑는 논술전형과 미래인재전형이 34.69대 1과 8.37대 1의 경쟁률을, 380명을 뽑은 고교추천전형이 6.2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모집단위별로는 논술전형 사범대 초등교육과가 138.67대 1, 의과대학 의예과가 114.5대 1을 기록했다.

성균관대는 2천732명 모집에 7만5천35명이 몰려 전체 경쟁률이 27.47대 1을 기록, 지난해(29.1대 1)보다 소폭 낮아졌다. 1천176명을 뽑는 논술우수전형 경쟁률은 49.63대 1을 기록했다.

모집단위별 경쟁률은 논술우수전형 기준 의예과가 201.9대 1로 가장 높았고 사회과학계열(78.99대 1)과 인문과학계열(71.21대 1),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학(69대 1) 등이 뒤를 이었다.

한양대 서울캠퍼스는 2천232명 모집에 7만443명이 지원해 전체 경쟁률 31.56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 24.51대 1보다 크게 오른 수치다.

전형별로는 894명을 모집하는 일반전형(학생부종합)에 1만9천436명이 몰려 21.74대 1을 기록했고, 503명을 모집하는 논술전형 경쟁률은 72.98대 1이었다.

모집단위별로는 일반전형 기준 체육학과, 응용미술교육과, 스포츠산업학과, 사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의예과 등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이 밖에 건국대(23.82대 1), 경희대(23.67대 1), 서강대(37.46대 1)는 지난해보다 수시모집 경쟁률이 올랐고 동국대(19.83대 1), 서울시립대(16.49대 1), 중앙대(24.48대 1)는 내려갔다. 한국외대(24.2대 1)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경쟁률을 보였다.

입시업체 종로학원 관계자는 “대부분 대학에서 지난해와 견줘 경쟁률이 소폭 오르내리고 있지만 절대 경쟁률 자체가 높은 상황이므로 지난해와 비교는 큰 의미가 없다”면서 “여전히 수험생들이 수시모집에 많이 지원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전날인 11일 수시모집이 마감된 서울대와 연세대의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소폭 떨어졌다.

서울대는 1천688명을 모집하는 일반전형 경쟁률이 9.08대 1을, 1천681명을 모집하는 지역균형선발전형 경쟁률이 3.47대 1을 기록했고, 연세대는 2천591명 모집에 4만628명이 지원해 경쟁률 15.68대 1을 기록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