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코끼리 유배된 섬은?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코끼리 유배된 섬은?

입력 2015-09-21 09:37
수정 2015-09-21 09: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금으로부터 600여년 전 조선 태종 때 일이다.

태종 11년(1천411년) 일본 국왕 원의지가 사자(使者)를 조선에 보내 코끼리를 바쳤다.

당시 조선시대 사람들이 처음 본 코끼리는 하루 4∼5말(한 말은 약 18ℓ)의 콩을 먹었다.

이듬해(1천412년) ‘이우’라는 양반이 코끼리에 밟혀 죽는 사고가 났고 다시 한 사람이 코끼리의 ‘육중한 발’에 희생양이 됐다.

병조판서 유정현은 코끼리를 ‘피의자’로 재판을 열어 유배를 보내기로 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인 셈이다.

유배지는 순천부 장도, 지금의 전남 보성군 장도다.

유배를 보낸 지 얼마 되지 않아 전라도 관찰사로부터 장계(狀啓)가 올라온다.

코끼리가 장도에서 수초(水草)를 먹지 않아 날로 수척해지고 사람을 보면 눈물을 흘린다는 ‘서글픈’ 내용이었다.

이후 코끼리는 전라도와 충청도를 전전했다고 한다.

보성군은 이런 코끼리 이야기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며 최근 전남도에 ‘가고 싶은 섬’ 사업 공모에 응모했다.

전남도는 장도가 코끼리가 유배온 섬으로 알려져 이를 활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발굴 가능성이 있다며 가고 싶은 섬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장도는 벌교읍 상진항에서 마을 도선으로 30분이 소요되는 섬이다. 현재 615명이 사는 2.92㎢의 마을이다.

람사르 해안보존습지로 지정된 벌교갯벌이 있다. 꼬막과 게, 짱뚱어, 낚지 등 갯벌 자원이 풍부하며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갯벌을 보존하기 위해 주민들이 기계작업을 마다하고 손으로 꼬막을 채취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장도는 섬의 형상이 노루를 닮았다고 노루 장(獐)자를 썼다고 한다.

골리앗과 다윗처럼 코끼리와 노루의 이미지가 대조를 이루며 뒤엉켜 있는 장도.

벌교천과 여자만을 이어주는 마치 징검다리 같은 섬.

다양한 스토리텔링으로 섬 관광객들의 발길을 붙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21일 “예산 지원, 주민협의회 구성, 주민 역량 강화 교육 등을 통해 전국의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형재 서울시의원 “국기원 중앙수련장 냉난방기 설치 및 지붕누수 보수 완료 환영”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강남2, 국민의힘)은 지난 6일 국기원을 방문, 국기원 지붕 빗물누수 개보수 및 중앙수련장 내 냉난방기 설치가 최근 완료된 데 대해 “태권도 성지인 국기원이 마침내 쾌적한 환경을 갖추게 되어 매우 뜻깊다”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국기원 노후시설 개보수 사업은 김 의원이 2025년도 서울시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의원발의 형태로 확보한 총 24억 6000만원의 예산을 바탕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국기원 개원(1972년) 이후 50여년 만에 처음으로 서울시 예산이 지원된 바 있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국기원은 폭염과 한파 속에서도 냉난방 장비 없이 교육, 심사, 시범단 훈련을 진행하는 등 국내외 태권도 수련인 모두에게 열악한 환경이었다”며 “또한 장마, 폭우 시 지붕에 빗물이 흘러내려서 대형 고무대야를 10여 개씩 비치하는 등 국내외 참가자들의 안전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며 개보수의 시급성을 강조해 왔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및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국기원 건물의 노후화 문제를 적극 제기하며 시설 전반에 대한 현대화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올해 1월에는 서울시와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국기원 중앙수련장 냉난방기 설치 및 지붕누수 보수 완료 환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