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은 부산대 예술대학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2010학번 남승우(23)씨. 남씨는 한글 2350자와 영어·숫자·특수문자를 포함한 ‘부산바다체’를 해당 홈페이지(www.busanbadattf.com)에서 무료로 배포한다고 8일 밝혔다.
부산바다체는 부산시가 2010년에 개발한 ‘부산체’를 보완해 가독성을 높인 것으로 남씨는 27개월간 매일 10~20자씩 작업을 했다. 부산체는 간판·표지판·제목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서체지만 부산바다체는 활용 범위가 더 넓어진 서체다. 부산체는 문서 작성 등 일상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영문 서체와 한글 서체의 동질감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부산바다체는 바다체의 자형을 기본으로 했지만 중성과 종성의 연결 부위가 서로 붙지 않도록 했다. 글자 가로선과 세로선의 굵기를 균일하게 하고 가로쓰기에 알맞은 정자체로 만들었다. 단어가 아닌 긴 문장을 작성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행간은 넓게 설정했다.
남씨는 “소상공인과 비영리단체가 유료 글씨체의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나 부산바다체의 시각적 홍보 효과를 활용해 더 큰 수익을 올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5-10-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