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만 적신 가을비…댐 저수율 변화 ‘미미’

바닥만 적신 가을비…댐 저수율 변화 ‘미미’

입력 2015-11-07 16:12
수정 2015-11-07 16: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령댐·대청댐·소양강댐 저수율 ‘요지부동’

비는 오지만, 가뭄 해갈을 위한 숨통은 트이지 않고 있다. 주요 댐의 저수율 변화는 거의 없고, 메말라 갈라진 바닥만 적시고 있다.

7일 각 지역 기상청 자료를 종합하면 충남권 주요 지점 누적 강우량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홍성 43㎜, 서산 38.5㎜, 보령 28㎜ 등이다.

곳곳에서 시간당 10㎜ 넘는 비가 왔으나, 가뭄 해갈엔 부족한 양이다. 충남은 일부 지역에서 제한급수를 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충남 서북부 지역 식수원인 보령댐 수위는 오후 3시 기준 57.46m로, 이날 0시에 비해 0.02m 상승하는데 그쳤다. 저수율은 18.9%로, 용수공급 전망 ‘심각’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진천 18.7㎜, 음성 16㎜, 충주 11㎜ 등 누적 강우량을 기록한 충북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충주댐의 저수율은 40%로, 전날(40.1%)보다 외려 줄었다. 대청댐의 저수율은 그나마 전날과 같은 36.4%다.

도내 771개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도 44.6%로 전날과 같다.

충북도 관계자는 “모레(9일)까지 누적 강우량이 60㎜가량 되더라도 비가 그치고 나서 사흘 뒤 저수율이 0.2∼0.3% 정도밖에 오르지 않을 것”이라며 “생활용수가 적은 산간마을에는 식수원 확보에 다소 도움이 되겠지만, 해갈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원에는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꽤 많은 비가 내렸다. 오후 3시 현재 미시령 99.5㎜와 속초 설악동 94㎜ 등의 강우량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뭄으로 몸살을 앓는 영서 지역은 10㎜ 내외에 그쳤다. 해갈을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소양강댐 수위는 현재 167.44m로 예년 평균인 181.1m에 미치지 못한다. 저수율은 41.7%로, 예년 평균인 61.7%보다 20%나 빠져 있다.

횡성댐 수위와 저수율은 각각 164.74m, 27.7%로 예년 평균인 173.8m, 64.1%보다 낮다.

안동댐과 임하댐의 저수율은 각각 32.6%와 30.3%에 머물러 예년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전북과 경기권 댐 저수율도 10∼20㎜가량 내린 비에 큰 영향을 받지 못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