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비 왔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가뭄 봄까지 지속”

단비 왔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가뭄 봄까지 지속”

입력 2015-11-07 17:53
수정 2015-11-07 1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40㎜ 내려…누적강수량은 평년보다 462.5㎜ 적어

서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7일 전국이 흐리고 모처럼 많은 비가 내렸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현재 중부 지방은 서울 15㎜, 용인 28㎜, 강릉 53.5㎜, 태안 41㎜ 등 강수량을 기록했다.

남부 지방은 산청 36.5㎜, 울진 31.7㎜, 군산 26.9㎜, 구례 48.5㎜ 등이다.

산악지대에는 미시령 108㎜, 한라산 진달래밭 90.5㎜의 비가 쏟아졌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부터 9일 자정까지 강원 영동, 경북 동해안 30∼80mm, 경남 해안, 제주도 산간 20∼60mm, 그 밖의 전국에서 10∼40mm의 비가 내길 것으로 전망했다.

11월의 평년(30년 평균치) 강수량이 46.7㎜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 비의 양은 매우 많은 수치다.

김용진 기상청 통보관은 “11월 평년 강수량이 40∼50㎜ 수준”이라며 “거의 한달간 내릴 비가 이번 사흘간 내리는 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충남과 수도권의 극심한 가뭄 해갈은 어려워 보인다.

올해 1월부터 이달 3일까지 전국의 누적 강수량(780.4㎜)은 평년(1천242.9㎜) 대비 62% 수준이다. 부족한 강수량이 462.5㎜에 이른다.

7∼9일 내리는 비의 양은 대부분 지역에서 10∼40㎜이므로 부족 강수량의 10%를 밑돈다. 가뭄 해갈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앞으로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다. 평년치를 보면, 큰 비를 기대하기 어렵다.

겨울철 4개월(11월∼이듬해 2월)의 평년 강수량은 135㎜다. 월별로는 11월 46.7㎜, 12월 24.5㎜, 1월 28.3㎜, 2월 35.5㎜다.

김 통보관은 “이번 비가 가뭄 대처에 약간의 도움은 되겠지만 해갈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며 “극심한 가뭄은 내년 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