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동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12-10 23:08
수정 2015-12-10 23: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모 세대 “65%” 반대… 자녀 세대 “62%” 찬성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의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1979∼92년생)에서는 절반만 결혼을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는 동거에 대해 에코 세대의 61.9%가 찬성한 반면 베이비붐 세대는 65.6%가 반대해 극명하게 대비됐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진보라고 생각하는 에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의 두 배가 넘었다.

통계청은 10일 이런 내용의 ‘한국의 사회동향 2015’를 발표했다. 주요 사회지표와 국가승인통계 자료 등을 활용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작성한 종합사회보고서다.

●난 보수 질문엔… 부모 세대 “44%” 자녀 세대 “20%”

베이비붐 세대의 66.2%는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했지만 에코 세대는 49.8%에 그쳤다. 반면 결혼과 무관한 동거에 대해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34.4%가 찬성했고 에코 세대의 38.1%만 반대했다. 가사 분담에 대해 베이비붐 세대는 59.4%가 부인의 책임이라고 한 반면 에코 세대는 59.3%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에코 세대에서 자신이 보수라는 답은 19.7%였지만 부모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에서는 2배가 넘는 43.8%였다. 반면 자신이 진보라는 베이비붐 세대는 14.6%로 에코 세대(29.5%)의 절반에 못 미쳤다. 에코 세대로 넘어오면 ‘한국인인 게 자랑스럽다’는 응답이 뚝 떨어졌다. 베이비붐 세대는 79.0%가 ‘대한민국 국민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지만 에코 세대의 응답은 66.9%에 그쳤다.

대인신뢰의 범위는 에코 세대보다 베이비붐 세대가 넓었다. 베이비붐 세대는 가족 95.8%, 이웃 72.1%, 낯선 사람 16.5%였고 에코 세대는 가족 95.6%, 이웃 52.6%, 낯선 사람 11.9%였다.

북한을 ‘적’으로 보는 인식은 베이비붐 세대(34.6%)와 에코 세대(33.3%) 간에 별 차이가 없었지만 ‘친구’로 보는 인식은 에코 세대(10.0%)가 베이비붐 세대(14.8%)보다 되레 낮았다.

●직업 선택 시 중요도는 부모 세대 “안정성” 자녀 세대 “수입”

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젊은 세대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에서 중앙정부, 대기업을 신뢰한다는 대답은 36.8%, 41.6%였지만 에코 세대는 각각 28.5%, 34.2%만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에코 세대는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한 것으로 수입(34.4%), 안정성(27.0%), 적성·흥미(22.5%)를 꼽아 수입(41.3%), 안정성(33.4%)을 중시하는 베이비붐 세대와 차이를 보였다. 삶에 대한 만족도(10점 만점)는 에코 세대(5.85점)가 베이비붐 세대(5.65점)보다 다소 높았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12-1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