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겁나고 전세난에 쫓겨… 서울 버스·지하철 덜 탔다

메르스 겁나고 전세난에 쫓겨… 서울 버스·지하철 덜 탔다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6-02-11 22:50
수정 2016-02-12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대중교통 이용 8년 만에↓ 수도권 전체 이용자는 증가세

“인구·일자리 감소 영향 받은 듯”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자가 8년 만에 감소했다. 서울시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이용자 감소의 주원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일각에선 전세난으로 인구가 줄고 일자리가 외곽으로 빠져나가면서 서울의 활기가 떨어지는 상황이 대중교통 이용자 감소로 나타났다고 본다.

11일 서울시가 2015년 교통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자는 39억명으로 2014년보다 9490만명이 줄었다. 지난해 대중교통 이용자 수는 하루 1072만명으로 전년 1098만명보다 2.3%가 적었다. 수단별로는 시내버스가 3.7%, 마을버스 1.6%, 지하철은 1.1% 줄었다.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자는 환승 체계가 경기도로 확대된 2007년 0.5% 감소한 뒤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전에는 환승 혜택을 받기 위해 서울버스를 골라 타야 했지만 2007년부터는 경기도 버스를 타도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나타난 현상이다.

지난해 대중교통 이용자 감소는 원인이 다르다. 시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가 본격화된 5월 하루 5만명의 이용자가 감소한 것을 시작으로 6월 42만명, 7월 44만명, 8월 20만명의 일 이용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9월 반짝 증가했던 대중교통 이용자는 10월부터 다시 전년 대비 감소하기 시작한다. 전문가들은 전세난과 일자리를 찾아 서울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본다. 실제로 지난해 서울시 인구 이동 현황을 보면 서울을 떠난 사람 수(59만 7000여명)는 들어온 사람 수(46만여명)보다 13만 7000여명이 많다. 전출 사유는 주택 문제(34%)와 결혼·독립(28.5%), 취업(25.7%) 등이었다. 김순관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 전체로 보면 대중교통 이용자 수가 상승 추세를 이어 가고 있다”면서 “메르스가 가장 큰 타격을 준 것은 맞지만 인구와 일자리 등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가장 붐비는 지하철 자리는 올해도 2호선이 차지했다. 2호선은 하루 평균 이용자가 155만명으로 2위 7호선(73만명)의 배가 넘었다. 반면 8호선은 하루 평균 16만명으로 승객이 가장 적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2-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