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 자세가 안되냐” 장애인 건강검진 ‘잔혹사’

“왜 이 자세가 안되냐” 장애인 건강검진 ‘잔혹사’

입력 2016-05-17 11:45
수정 2016-05-17 1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왜 이 자세가 안되냐, 가만히 좀 있어라.”

엑스레이(X-Ray) 촬영을 하기 직전 뇌병변장애인 A씨가 긴장으로 경직되자 방사선과 의료진이 던진 말이다.

비장애인들처럼 촬영에 필요한 여러 자세가 쉽게 되지 않자 의료진이 무심코 던진 말이지만 마음대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A씨는 큰 상처를 입었다.

건강검진을 받으려고 병원을 찾은 장애인들이 겪는 불쾌감이나 수모는 이뿐만이 아니다.

키 177㎝, 몸무게 90㎏로 비교적 거구인 지적장애 1급 장애인 B씨는 일반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없다.

간단한 주사를 맞으려 해도 성인 남자 3∼4명이 붙잡아야 하고, 어디가 아픈지 정확히 표현할 수 없는 B씨를 병원이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대부분 병원의 검사장비는 비장애인용이어서 아예 장애인들은 검사하지 못하는 일도 있다.

심지어 일부 병원은 장애인 검진자를 받으면 시간이 지체돼 정상인 검진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없다는 ‘상업적 이유’로 장애인 건강검진을 거부하는 곳도 있다.

접근성도 문제다.

건강검진 지정병원 중 규모가 작은 병원 대부분은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지 않는 2층에 있다.

이 때문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검사는커녕 병원에 들어갈 수조차 없는 실정이다.

병원 측이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려고 해도 건물주가 아니어서 개선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

전북지역 건강검진 지정병원은 총 248곳이지만 그 가운데 70%에 육박하는 170곳이 규모가 작은 의원급이다.

이 때문에 장애인이 마음 놓고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전용 지정병원’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다.

한완수 전북도의원은 “장애인 건강검진 지정병원을 마련하면 조기검진으로 장애인들의 만성질환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수 있고 삶의 질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