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방류로 임진강 어부들 피해…‘어구유실로 조업 타격’

北 방류로 임진강 어부들 피해…‘어구유실로 조업 타격’

입력 2016-05-18 17:00
수정 2016-05-18 17: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당국, 댐 방류 1∼2일 전에 통보해 줬으면…”

“올해 황복과 새끼뱀장어 조업은 힘들다고 봐야지 뭐…”

임진강 상류 경기도 연천군의 어민 유재학(63) 씨의 말이다.

북한이 지난 16∼17일 통보 없이 두 차례 황강댐을 방류해 임진강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서 어민들이 생계수단인 어구를 미처 거둬들이지 못해 강물에 떠내려 보낸 사례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17년째 연천지역 임진강에서 조업해온 유 씨는 북한의 황강댐 방류로 군남홍수조절댐이 수위조절을 위해 지난 17일 수문을 열고 평소보다 많은 물을 내보냄에 따라 17∼18일 조업을 못 했다. 18일 오전 임진강의 물이 빠지자 그물 확인을 위해 강을 찾은 유 씨는 허탈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뱀장어와 쏘가리 메기 등을 잡기 위해 설치해 놓은 강망 5개와 통발 110개가 물에 다 떠내려갔기 때문이다.

그는 “연천지역 임진강 상류에서 어민 14명이 어획 활동을 하는데 오늘 확인한 피해만 강망 45개, 통발 870개, 어선 1척이었다”며 “피해는 조금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임진강 하류인 파주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장석진(53) 파주 어촌계장은 “요즘이 황복과 새끼뱀장어 산란 철로 어부들에게는 한창 바쁠 시기인데 올해 (황복·새끼뱀장어) 조업은 다 틀렸다”며 “황복이 매번 올라오는 것도 아니고 조업을 못 하는 만큼 소득이 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지난 주말까지 임진강에 그물 8개를 치고 황복과 새끼뱀장어를 잡아 하루 평균 100여만 원의 소득을 올렸다.

하지만 이날 오후 확인한 결과, 8개 그물 중 7개가 떠내려가고 1개만 남아있었다.

임진강 하류에서는 4월 초부터 다음 달 중순까지 황복과 새끼 뱀장어 조업이 이뤄진다. 어민들은 주 소득원인 황복과 새끼 뱀장어가 한창 나오는 이 시기에 북측이 댐 방류를 하면서 큰 손실을 볼 처지에 놓였다.

어구가 떠내려가면 찢어진 그물을 건져내고 새 그물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데 이 작업에만 보통 보름씩 걸리기 때문에 이 기간에는 아예 어업 활동을 못 한다.

장 어촌계장은 “지금 당장 황복과 새끼 뱀장어 어획을 위한 그물을 살 곳도 없다”면서 “지역마다 어획 방법과 그물 구조가 틀려 올해 어획은 포기해야 할 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민들이 입은 피해보다는 한국수자원공사 측이 댐 방류 1∼2일 전에 미리 통보해 줘 어민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가장 크다”며 “내일 어촌계원들의 정확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임시 총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통보 없이 지난 16일 오후 10시 50분과 17일 오전 1시 두 차례 걸쳐 황강댐에서 초당 400t가량의 물을 방류했으며 한국수자원공사 임진강건설단은 이에 17일 오전 1시께부터 군남댐 수문을 열고 초당 500t의 물을 내보냈다.

북한은 지난 15∼16일 임진강 상류 북한지역에 100㎜가량의 많은 비가 내려 방류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