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급한 정부 독려에도…지자체 243곳중 17곳만 예산 조기집행

다급한 정부 독려에도…지자체 243곳중 17곳만 예산 조기집행

입력 2016-05-20 07:35
수정 2016-05-20 0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차 밟느라” 군색한 변명…인센티브·패널티 강화해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예산을 조기 집행하라는 정부의 독려에도 지방자치단체들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

지자체들은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예산 집행을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조기에 돈을 푼 곳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정부 방침대로라면 전국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는 상반기까지 올해 집행 예산의 절반을 웃도는 56.5%를 지출해야 하지만 실제 집행률은 이에 훨씬 못미친다.

행정자치부가 전국 지자체에 “이때까지 이정도는 지출해야 한다”며 제시한 예산 집행률 기준은 4월 말 34.5%, 5월 말 45.8%이었다.

그러나 243개 지자체들의 평균 예산 집행률은 지난 13일 기준 38.5%이다. 행자부 지침보다 7.3% 포인트 낮다.

정부의 지방재정 조기 집행 요구에도 대부분의 지자체가 ‘소 귀에 경 읽기’ 식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행정자치부가 파악한 올해 전국 광역·기초 자치단체 예산 규모는 모두 320조1천144억원이다.

행자부는 이 가운데 167조6천551억원을 조기 집행 대상 예산으로 잡았고, 올해 상반기 중 56.5%인 97조3천725억원을 집행하도록 권고했으나 지난 13일까지 집행 규모는 38.5%인 64조5천38억원에 그쳤다.

1∼5월 지출해야 할 예산 집행률 45.8%를 넘어선 광역·기초 자치단체는 전국 243곳 중 17곳뿐이다. 돈을 일찍 풀라고 했는데 대부분의 지자체가 오히려 늑장 집행한 것이다.

경기 의정부(58.8%)와 광주 북구(58.7%), 부산 남구(58.3%), 광주 서구(56.9%), 경기 과천(56.8%) 등 5개 자치단체는 이미 상반기 목표를 달성했다.

부산 북구(54.3%)와 경기 파주(51.4%), 울산(49.4%), 경북 성주(48.8%), 경기 김포(48.7%), 경북 군위(48.6%), 경기 용인(48.3%), 부산 동래구(47.4%), 경기 광주(47.2%), 경기 양평(45.9%), 경남 김해(46.7%), 부산 사상구(46.8%)는 좋은 성적을 냈다.

나머지 226개 광역·기초 자치단체의 지방재정 조기집행 실적은 평균치에 미달했다. 예산을 제때 집행하지 못한 셈이다.

강원 양구군의 지방재정 조기 집행률은 18.4%로 전국에서 가장 저조하다.

군 관계자는 “예산 중 시설 사업비가 많은데 기술 검토나 재원 협의를 하다 보면 집행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초 자치단체에 예산을 배분하는 광역 자치단체는 시·군·구보다 예산 조기 집행이 용이할 것 같지만 실적을 보면 그렇지도 않다.

8개 시 중 울산시(49.4%)는 목표를 달성했다. 9개 도 중 충북도(44.8%)의 집행 실적이 그나마 낫지만 목표치는 채우지 못했다.

경기도(39.5%)나 강원도(38.7%), 서울시(33.5%), 세종시(32.9%), 인천시(32.6%), 제주시(31.5%) 등 6개 시·도의 지방재정 조기 집행률은 40%를 밑돌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간부회의 때마다 예산 조기 집행을 채근하거나 독려하고 있지만 실무선으로 내려가면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선뜻 돈을 풀지 않는 바람에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예산 집행을 서둘렀다가 문제가 되면 고스란히 책임을 뒤집어써야 하지만 의욕을 보여 목표를 달성했다고 해서 돌아오는 인센티브는 별반 없는 탓에 실무선에서 소극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역경기 활성화나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지방 재정 조기 집행을 정착시키려고 한다면 인센티브 규모 확대나 페널티 적용 등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연초에는 사업 추진을 위한 계약 등 행정절차로 인해 예산 조기 집행률이 다소 낮았던 게 사실”이라며 “다음달 말까지는 목표가 달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이달 현재까지 행정자치부가 제시한 1∼4월 예산 조기 집행률 34.5%마저 달성하지 못한 광역·기초 자치단체는 93곳이나 된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