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네이처리퍼블릭 13년째 서울 땅값 1위…1㎡당 8천310만원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13년째 서울 땅값 1위…1㎡당 8천310만원

입력 2016-05-30 11:34
수정 2016-05-30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개별공시지가 공시…지난해보다 평균 4.08%↑

서울에서 가장 비싼 ‘금싸라기’ 땅은 중구 명동역 인근 네이처리퍼블릭 화장품판매점으로 나타났다.

30일 서울시 ‘2016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에 따르면 이곳은 1㎡당 8천310만원을 기록, 2004년 이래 13년째 서울 시내 공시지가 1위를 지켰다.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 도봉산 자연림으로 1㎡당 5천910원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한 90만여 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31일 발표한다.

올해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4.08%로, 지난해 4.47%보다는 상승폭이 0.39%포인트 줄었다. 조사 대상 필지 가운데 95.5%는 지가가 상승했고, 2.2%는 보합을 보였으며, 1.4%는 하락했다.

시는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보합세가 지속해 완만한 지가 상승이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자치구별 상승률을 살펴보면 마포구가 5.6%로 가장 높았고, 서대문구 5.1%, 서초구 5.02%, 동작구 4.9%, 용산구 4.7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상승률이 가장 낮은 곳은 중구 2.25%였다.

시는 “마포구는 노후 주택 밀집지역인 아현·염리·망원동의 주택재개발사업 이주·착공과 홍대입구 주변 상권확장, 공항철도 주변 신규 상권 형성이 이뤄졌다”며 “상암동 업무단지 주변 상권확장 등 주택지대가 주상·상업지대로 변모해 전반적인 가격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가장 비싼 주거지역 지가는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아파트로, 1㎡당 1천295만원에 달했다. 이는 3.3㎡당 4천273만원에 이르는 값이다.

개별공시지가 확인은 서울부동산정보광장(http://land.seoul.go.kr)이나 ‘일사편리 서울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http://kras.seoul.go.kr/land_info)에서 할 수 있다.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토지소유자나 이해관계인은 다음 달 30일까지 ‘일사편리 부동산통합민원’(http://kras.seoul.go.kr)을 이용하거나, 각 자치구·동 주민센터에 서면·우편·팩스로 이의 신청서를 내면 된다.

이의신청 토지에 대해서는 토지특성 재조사와 감정평가사의 검증, 자치구 부동산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7월29일까지 재결정·공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채수지 서울시의원 “서울 학교 운동장 5년 동안 4500평 줄어… “학생 체력·건강 챙겨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채수지 의원(국민의힘, 양천1)은 지난 17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학교 증·개축 과정에서 대규모 운동장 면적 축소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서울시교육청이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서울시교육청 제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1~2025년) 동안 주차장 신설·이전·확장 또는 급식실·체육관 증축 과정에서 운동장 면적이 줄어든 학교는 총 24개교, 축소된 면적은 총 1만 4740㎡(약 4467평)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주차장 설치·확장으로 발생한 운동장 축소 면적은 1225평, 체육관·급식실 증축 등 부속시설 조성에 따른 감소는 3242평으로 확인됐다.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에 따라 각급 학교는 설립시 학생 수에 비례해 일정 규모 이상 체육장을 확보해야 한다. 서울시 학교 중 10.4%가 법령상 체육장(운동장 포함) 면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 학교 주차장 관리에 관한 조례’ 제8조제2항은 “주차장을 설치·이전·확장할 때 운동장과 통학로를 침식·잠식해서는 안 되며, 교육감은 이를 승인할 때 준수 여부를 확인해야 한
thumbnail - 채수지 서울시의원 “서울 학교 운동장 5년 동안 4500평 줄어… “학생 체력·건강 챙겨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