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가출소녀 38% 성매매 경험…“돈 때문에”

10대 가출소녀 38% 성매매 경험…“돈 때문에”

입력 2016-09-20 14:36
수정 2016-09-20 15: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남대 육혜련 교수 실태 조사…직업교육 강화하고 단속·처벌 엄하게

가출 경험이 있는 10대 여성 10명 가운데 4명 가까이 성매매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육혜련 교수가 20일 오후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위기청소녀 가출과 성경험 실태조사 발표 및 대안모색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가출 경험이 있는 10대 소녀의 38%가 성매매 경험이 있고, 성매매 시작 연령으로는 14∼16세(48.6%)가 가장 많았다.

육 교수는 지난 7∼8월 대전 지역의 가출 경험이 있는 만10∼20세 여성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1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해 이런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참여한 10대들은 가출 후 여성이라서 더 힘든 점으로 성매매 유혹이 많다(32.6%)고 가장 많이 답했다.

일자리가 마땅하지 않다(17.4%), 성폭력 위험이 더 높다(10.9%)고 응답한 소녀들도 있었다.

이에 대해 육 교수는 가출한 10대 소녀들이 각종 사회적 위험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으며, 특히 성매매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성매매 경험이 있는 소녀들을 대상으로 첫 성매매를 알선 한 사람이 누군지를 묻는 설문에는 선후배(11명·31.4%), 친구(11명·31.4%), 혼자(6명·17.1%) 등의 순서였다.

이들은 또 돈을 벌고 싶어서(21.1%) 성매매를 시작하게 됐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 잘 곳이 없어서(15.5%), 배가 고파서(14.1%), 친구 및 선후배가 부탁해서(12.7%) 등 순서로 성매매 계기를 묻는 설문에 답했다.

강요에 의해서 성매매를 시작했거나(9.9%), 다른 일자리가 없어서 성매매할 수밖에 없었다는 답변(8.5%)도 뒤를 이었다.

소녀들이 경험한 성매매 유형으로는 조건만남(42%)이 가장 많았다. 이어 노래방(24%), 보도(22%), 단란주점·룸살롱(10%) 순이었다.

육 교수는 이 연구 논문에서 가출한 10대 소녀들이 생존 전략으로 쉽게 성매매를 선택하고 있다며, 성인 성매매 문제와는 차별화 된 탈성매매, 사후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이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직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성매매 단속과 처벌을 강화하고,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 소녀들을 위한 상담실을 운영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