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대상 등 대기업들이 5년 6개월간 1000만t이 넘는 유전자변형농산물(GMO)를 수입해 온 사실이 밝혀졌다. GMO는 유전자 기술을 통해 추위, 병충해 등에 내성을 갖게 개량한 품종이다. 그 유해성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일부 국가에서는 안전하다고 알려진 GM옥수수에 대해서도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1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의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받은 업체별 GMO 수입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총 1066만t의 GMO가 국내에 수입됐다.
이미지 확대
경실련이 식약처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업체별 GMO농산물 수입현황.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실련이 식약처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업체별 GMO농산물 수입현황.
CJ제일제당과 대상, 사조해표, 삼양사, 인그리디언코리아가 이 중 96%를 수입했다. CJ제일제당이 340만t(31.98%), 대상이 236만t(22.12%), 사조해표가 177만t(16.61%), 삼양사가 172만t(16.11%), 인그리디언코리아가 140만t(13.17%)을 각각 들여왔다.
이처럼 식품 업계의 대기업들이 천문학적인 규모의 GMO를 수입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이 GMO가 어떤 식품에 얼만큼 첨가돼 있는지 알 수 없다. 현행 표시제도에서는 업체가 GMO를 원료로 써서 식품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표시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경실련 관계자는 “최근에는 발암 및 광우병을 유발하는 등 안전성 논란이 첨예한 GM젖소성장호르몬이 국내에 유통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기업이 GMO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국회가 소비자 권익증진을 위해 식품위생법, 건강기능식품법 등을 개정해 GMO를 원재료로 사용한 식품은 예외 없이 그 사실을 소비자에 알리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