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적 병역거부 반대여론 10여년만에 90%→52% ‘뚝’

양심적 병역거부 반대여론 10여년만에 90%→52% ‘뚝’

입력 2017-01-10 11:31
수정 2017-01-10 1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권위, 국민·전문가·학생 인권의식 조사…체벌 반대는 높아져

우리 국민의 양심적 병역거부 반대 여론은 줄고 아동·청소년 체벌 반대 여론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5월25일∼12월23일 만 15세 이상 국민 1천504명을 대상으로 ‘국민 인권의식 조사’를 벌여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5년과 201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진행된 것이다.

2005년과 2011년 조사에서는 양심적 병역거부를 허용하면 안 된다는 응답이 각각 89.9%와 64.1%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52.1%로 낮아졌다.

반대로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10.2%에서 33.3%를 거쳐 46.1%까지 늘었다.

과거 조사에서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체벌을 금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24.2%(2005년)와 25.6%(2011년)로 전체의 ¼에 불과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50.6%로 절반 이상이었다.

체벌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75.8%(2005년), 73.9%(2011년)에서 48.7%로 대폭 낮아졌다.

국민이 차별을 가장 많이 느끼는 분야가 성차별이라는 결과도 도출됐다.

‘지난 3년간 응답자·가족의 차별 경험 비율’을 조사한 결과 성차별을 겪었다는 응답이 12.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연령차별(11.6%)·학력 및 학벌 차별(11.5%)·비정규직 차별(9.7%) 순이었다.

국민은 인권침해가 심각한 분야로 개인정보유출과 집회·결사의 자유를 꼽았고, 비정규직 차별 반대·최저 시급 인상·사회보장 확대 등 사회권 요구를 강하게 표출했다.

인권위는 ‘국가인권위원회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2011년 39.8%에서 이번 조사에서 40.9%로 늘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13.3%에서 8.4%로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교수·교사·법조인·언론인·시민단체 활동가 등 5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인권의식 조사에서도 개인정보 보호와 집회·시위의 자유 제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등 학생 542명에 대한 조사에서는 빈곤과 기아 문제를 자신과 가까운 문제로 여기는 학생들이 61.6%로 매우 높았다고 인권위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