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몸살 앓던 日영사관 앞 소녀상 주변 ‘대청소’

쓰레기 몸살 앓던 日영사관 앞 소녀상 주변 ‘대청소’

입력 2017-03-06 14:39
수정 2017-03-06 14: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구청·시민단체, 재발해도 즉각 강제철거키로 합의…CCTV도 설치

이미지 확대
6일 부산 동구청 직원이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주변에 나붙은 불법 선전물을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6일 부산 동구청 직원이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주변에 나붙은 불법 선전물을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 동구청과 소녀상 지킴이 단체가 ‘골칫덩어리’였던 소녀상 주변 쓰레기와 불법 선전물을 강제철거하기로 6일 합의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부터 소녀상 설치에 반대하는 남성과 소녀상 지킴이 단체·시민 사이에 불법 선전물을 떼고 붙이는 ‘숨바꼭질’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동구청은 이날 오전 11시 20분께 트럭을 동원해 소녀상 인근 엘리베이터 유리 벽에 붙은 불법 선전물과 폐가구 더미, 각종 쓰레기를 철거했다.

구청은 소녀상 주변에 방치된 불법 선전물과 쓰레기가 갈수록 많아지고 이를 둘러싼 갈등이 불거지자 이날 소녀상 주변의 모든 불법 선전물과 쓰레기를 철거하기로 시민단체와 합의했다.

소녀상 주변에 불법 선전물이 다시 붙거나 쓰레기를 놔두면 즉시 구청이 철거하기로 했다.

시민단체 역시 구청과 논의 중인 소녀상 주변의 작은 게시판을 제외하고는 단체가 붙인 현수막이나 일체의 선전물을 모두 떼기로 했다.

구청은 철거한 쓰레기와 불법 선전물을 특정 장소에 보관할 예정이다.

구청은 또 6∼7일 소녀상 주변을 24시간 감시하는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쓰레기 투기나 불법 선전물 부착 시 증거자료로 활용한다.

박삼석 동구청장은 “더는 소녀상이 훼손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었다”며 “시민단체와 함께 소녀상을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용조 ‘소녀상을 지키는 부산시민행동’ 정책국장은 “늦었지만, 구청의 소녀상 불법 선전물 철거 합의를 환영한다”며 “앞으로 시의회에 계류 중인 위안부 피해자 지원 조례가 제정돼 소녀상이 법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월부터 소녀상 주변에 ‘소녀상을 철거하라’, ‘북한 동포를 사랑하라’, ‘박근혜 (대통령) 살려내자’는 글 등이 적힌 종이가 붙기 시작했고 지난달 초부터는 폐가구 등 쓰레기가 쌓였다.

구청과 경찰이 이를 방관하는 사이 소녀상 설치 반대 입장의 남성이 불법 선전물을 붙이면 소녀상 지킴이 회원과 시민이 이를 떼는 악순환이 계속됐다.

최근에는 소녀상 찬성과 반대 양측 시민 간의 차량 추격전이 벌어지는가 하면 소녀상에 자물쇠로 자전거를 묶는 등 소녀상 반대 측의 행동이 도를 넘었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