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허시험’ 시행 반년…초보·연습면허자 사고 줄었다

‘불면허시험’ 시행 반년…초보·연습면허자 사고 줄었다

입력 2017-06-26 10:26
수정 2017-06-26 1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려워진 장내기능시험 합격률 93%→54%

장내기능시험 난도를 대폭 높인 새 운전면허시험 시행 6개월 만에 초보운전자와 연습면허 소지자가 낸 교통사고가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경찰청에 따르면 작년 12월22일 새 제도 시행 이후 이달 21일까지 운전면허를 취득한 초보운전자 교통사고가 전년 같은 기간 904건에서 562건으로 342건(37.8%) 감소했다.

기능시험에만 합격한 연습면허자 교통사고는 60건에서 16건으로 44건(73.3%) 줄었다. 연습면허 소지자 중 인명피해 사고를 내 연습면허가 취소된 경우도 43건에서 9건으로 34건(79.1%) 감소했다.

경찰은 2011년 운전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교통사고가 증가한다는 지적이 일자 제도 개선에 착수, 장내기능시험에서 경사로와 ‘T자 코스’(직각주차)를 부활시키는 등 한층 어려워진 면허시험 제도를 작년 말 시행했다.

경찰 관계자는 “2011년 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특히 연습면허 소지자 교통사고가 매년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애초 의도한 제도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도 시행 후 6개월간 합격률은 현격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시험 합격률은 종전 간소화 제도 시행 당시에는 87.3%였으나 새 제도 시행 이후 1주일간 80.3%로 낮아졌고, 6개월간 평균 80.8%의 합격률을 보였다.

장내기능시험 제도개선 전 92.8%에 이르는 합격률을 보였다가 시행 일주일간 30.3%로 급락했고, 6개월 평균 역시 54.0%로 과거보다 눈에 띄게 낮아졌다.

이전 제도하에서 58.5%였던 도로주행 합격률은 새 제도 시행 1주일간 49.6%였다가 6개월간 평균 55.4%를 기록해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주된 감점 요인은 직각주차가 34%로 가장 비중이 컸고, 출발코스 감점 20%, 기어 변경 12%, 속도위반 8%, 시동 6%, 신호위반 4%, 경사로 3% 등이었다.

경찰은 여름방학 기간을 맞아 무등록 운전면허 교육 등 불법행위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내달 3일부터 특별단속을 벌일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