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학교폭력 큰폭 증가···지난해 61% 급증

사이버 학교폭력 큰폭 증가···지난해 61% 급증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7-10-01 15:06
수정 2017-10-01 15: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지역에서 직접적인 학교폭력 뿐 아니라, 인터넷 등 온라인에서의 간접폭력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기도교육청이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경기 남양주을)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학교폭력은 562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발생건 수 4413건 보다 27.5% 증가한 수치이다. 인터넷 등 사이버에서의 음란·폭력·따돌림은 61%나 늘었다.

가해 학생은 5887명에서 7696명으로 1809명(30.7%), 피해 학생은 5110명에서 6415명으로 1305명(25.5%) 늘었다. 중학교에서 가장 많은 3002건(53.4%) 발생했고 고등학교 1962건, 초등학교 673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고등학교에서의 폭력은 2015년 1354건보다 608건(44.9%) 늘었다.

학교폭력 유형은 폭행 2869건, 인터넷 음란·폭력·사이버따돌림 622건, 명예훼손·모욕 451건, 협박 312건, 따돌림 160건 순이다.

학교폭력위원회는 총 5441건을 심의했으며 가해 학생 조치는 서면 사과가 37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전학은 546명, 퇴학처분은 27명에 달했다.

김 의원은 “SNS 사용이 늘면서 인터넷상 폭력이 급증했다”면서 “직접적인 폭력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간접 폭력에 대한 대책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