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홀릭 줄고 ‘욜로’ 늘고… 국민 43%만 “일이 우선”

워커홀릭 줄고 ‘욜로’ 늘고… 국민 43%만 “일이 우선”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수정 2017-11-08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P 줄어… 50%대 처음 깨져

42.9% “가정·일 모두 중요” 응답
소비생활 만족도 20대 가장 높아
기부경험자 3.2%P 줄어 26.7%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는 신조어 ‘욜로’(YOLO·You only live once)는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7 사회조사 결과’에도 잘 투영돼 있다. “가정보다는 일이 우선”이라는 응답자가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졌다.

국내와 해외를 가리지 않고 여행을 가는 사람들도 꾸준히 늘고 있다.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도 소폭이나마 증가했다.

“일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통계청이 관련 항목을 조사하기 시작한 2011년 54.5%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3.1%로 10.6% 포인트나 줄었다. “가정과 일 모두 중요하다”는 응답은 42.9%, “가정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13.9%를 차지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8.5% 포인트, 2.0% 포인트 증가했다.

●30대부터 가정 중시 인식 높아져

연령별로 보면 취업 고민이 많은 20대(19~29세)는 가정보다는 일이 우선(51.2%)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지만 30대가 되면 39.2%만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40대는 일을 우선(43.7%)하는 응답과 일과 가정 모두 중요하다는 응답(43.9%)이 비슷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맞벌이·육아 지원 등 일·가정 양립 제도가 강화되면서 의식 변화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의식주·여가·취미생활 등을 포함해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15.4%로 2년 전보다 1.5% 포인트 늘었다. 20대의 소비생활 만족도가 18.4%로 가장 높았다. 소득이 높을수록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아지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통계청은 “저축보다는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층의 욜로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1년간 국내 여행을 다녀왔다는 답변은 70.6%였고 해외여행도 26.5%였다. 2년 전과 비교하면 국내여행은 3.9% 포인트, 해외여행은 6.8% 늘었다. 특히 해외여행은 가족·친지 방문과 업무 목적은 줄어든 반면 관광은 늘었다.

●중산층 셀프 인식 1.1%P 늘어 57.6%

자신을 중산층으로 여기는 응답자는 57.6%로 2년 전(56.5%)보다 1.1% 포인트 늘었다. 하지만 기부는 갈수록 팍팍해졌다. “기부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26.7%로 2년 전(29.9%)보다 감소했다. 기부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도 같은 기간(45.2%→41.2%) 줄어들었다. 스스로의 인식과 달리 실제 삶의 여유가 늘지 않은 탓도 있겠지만 ‘어금니 아빠’ 사례에서 보듯 기부금이 제대로 쓰이는지에 대한 불신 등이 커진 탓도 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60세 이상 도와줄 사람 급감

나이가 들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좁아지는 경향도 나타났다.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는 응답은 20대와 30대는 80%가 넘지만 50대와 60세 이상은 74.8%에 그쳤다. “급하게 목돈이 필요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는 응답 역시 20대는 65.2%, 30대는 62.9%였지만 50대는 43.9%, 60세 이상은 37.1%로 급감했다.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50대까지는 80%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지만 60세가 넘어가면 75.6%로 떨어졌다. 도와줄 수 있는 사람 숫자 역시 20대는 4.0명에서 60세 이상은 2.4명으로 줄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