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대중교통 무료인가”…냉대받은 서울 미세먼지 대책

“누구를 위한 대중교통 무료인가”…냉대받은 서울 미세먼지 대책

김지수 기자
입력 2018-01-15 15:27
수정 2018-01-15 1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발 미세먼지에 저감 효과 의문…“차라리 환경개선 사업에 써라” 의견도

오전 내내 미세먼지 ‘보통’…전문가 “예보 정확도 높아진 뒤 시행해도 늦지 않아”

서울시가 미세먼지 저감 대책 중 하나로 도입한 대중교통 무료 조치가 시행 첫날부터 시민들의 시큰둥한 반응에 직면했다.

대중교통 이용객이 뚜렷이 늘어나지 않아 효과 역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미세먼지로 서울 지하철?버스 ’0원’
미세먼지로 서울 지하철?버스 ’0원’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가 발령된 15일 오전 서울 지하철 광화문역 단말기에 미세먼지로 인한 지하철 요금 면제로 운임요금이 0원으로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초미세먼지가 이틀 연속 ‘나쁨’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보되자 서울시는 일요일이던 14일 오후 5시 10분께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15일 첫차 출발 때부터 오전 9시까지 서울 버스와 지하철 요금이 면제됐다. 퇴근 시간인 오후 6∼9시 요금 역시 받지 않는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돼 서울 내 대중교통이 무료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첫 무료 승차를 해본 많은 시민이 하루 50억∼60억원(예상치)을 들여 시행하는 이 정책의 효과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대중교통 무료 정책은 서울시가 세금으로 시민들이 이용한 버스·지하철 요금을 대납해주는 구조다.

서초구 내곡동에 사는 박민정(30) 씨는 “당연히 지불해야 하는 대중교통 요금을 서울시가 내주는 것에 대해 고맙다기보다는 왜 내주느냐는 생각이 들었다”며 “개인에게는 적은 돈이지만 합치면 엄청나게 많은 세금 아니냐”고 말했다.

박 씨는 “이 돈을 차라리 어려운 사람을 위해 쓰거나 환경개선 사업에 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미세먼지는 특히 중국발(發)이기 때문에 서울시가 근본적 해결책은 건드리지 못한 채 ‘엉뚱한 치료’를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강서구에 거주하는 김지산(42) 씨는 “차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한번 공짜로 이용하게 해준다고 해서 지하철·버스를 타지 않을 것”이라며 “무료 정책으로 지하철·버스 이용객이 늘어난다고 해도 평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들만 ‘콩나물 버스’로 인한 피해를 보고, 도로는 뻥뻥 뚫려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자가용 운전자가 이득을 보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날 오전 중 초미세먼지 농도가 계속해서 ‘보통’ 수준에 머무른 점도 시민들의 공감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는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가 자정부터 오후 4시까지 50㎍/㎥를 넘어 ‘나쁨’ 수준을 나타내고, 그 다음 날도 마찬가지로 ‘나쁨’ 수준으로 예상되는 경우 내려진다.

14일(자정∼오후 4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57㎍/㎥로, 발령기준인 50㎍/㎥를 초과했다. 그러나 15일 새벽부터 오후 1시까지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50㎍/㎥를 밑돌다가 오후 2시 현재 58㎍/㎥로 높아졌다.

김동술 경희대 교수는 “환경정책은 환경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데,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대중교통 무료 정책 도입을 너무 서두른 것 같다”며 “기반 기술이 발달한 뒤 정책을 도입해도 늦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번 정책을 시행할 때마다 천문학적인 돈이 들기 때문에 사회성뿐 아니라 경제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가 미세먼지가 심한 날 대중교통을 무료로 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것은 지난해 6월 초다.

이는 작년 5월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미세먼지 시민대토론회에서 참가 시민 3천명이 논의한 내용 등을 토대로 한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당시 토론회에서 “서울에서 심각한 미세먼지 단계가 7번 있었으니,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시행하면) 서울시가 250억원가량을 적자 보는 것”이라며 “그렇지만 여러분이 결론 내려준 것처럼 돈보다 사람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대중교통 무료 이용은 프랑스 파리도 도입했다가 지난해 초부터 폐지한 정책이다.

파리시 역시 미세먼지 농도 등 대기오염 척도가 경계기준을 넘으면 차량 2부제를 시행하고 버스와 지하철을 비롯해 파리시 공용자전거 시스템인 ‘벨리브’, 전기 자동차 대여 시스템 ‘오토리브’(Autolib)를 무료로 운영해왔다.

그러나 작년부터 대기오염이 심해도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영하지 않고, 대신 수도권 내에서 하루 동안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표를 3.8유로(약 4천900원)에 판매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