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밖은 위험해” 한파 후유증 달랜 시민들…동전빨래방 북새통

“이불밖은 위험해” 한파 후유증 달랜 시민들…동전빨래방 북새통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28 16:50
수정 2018-01-28 16: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들이객 적어 고속도로 통행 원활…“상행선 정체 오후 8시 해소”

이미지 확대
역대급 한파가 연일 계속되면서 세탁기 동파사고 등으로 인해 코인빨래방을 찾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28일 서울의 한 코인빨래방에서 시민들이 빨래를 돌리고 있다.  연합뉴스
역대급 한파가 연일 계속되면서 세탁기 동파사고 등으로 인해 코인빨래방을 찾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28일 서울의 한 코인빨래방에서 시민들이 빨래를 돌리고 있다.
연합뉴스
최강 한파의 매서운 기세가 다소 누그러진 일요일인 28일 서울 시민들은 ‘맹추위 후유증’을 달래느라 밀린 집안일을 하는 등 실내에서 한 주를 마무리하고 새 주를 준비했다.

날씨가 다소 풀렸다고는 하지만, 서울 낮 최고기온은 이날도 영하 2도로 여전히 추웠다. 서울 시내 곳곳 주택가에서는 세탁기 배수관이 얼어붙어 빨래가 어려워지자 동전 빨래방이 ‘호황’을 맞은 모습이었다.

성동구의 한 빨래방 주인은 “원래 ‘셀프’ 빨래방인데 평소 주말보다 빨래 양이 10배 이상 늘어나 직접 도우려고 출근했다”면서 “어제 들어온 빨래도 아직 마무리가 안 돼서 오늘 밤새 문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빨래방을 찾은 이모(33)씨는 “지금 빨래를 맡겨도 내일 오후 늦게나 찾을 수 있다고 해서 깜짝 놀랐다”면서 “내가 기다리는 동안에도 7명이나 더 왔다가 발길을 돌렸다. 맡길 수 있는 게 그나마 다행인 것 같다”며 혀를 내둘렀다.

주중 혹한 때문에 꽁꽁 얼었던 몸을 따스한 방바닥과 이불 속에서 주말 내내 녹였다는 시민도 많았다.

직장인 정모(29·여)씨는 “남자친구와 영화를 볼까 하다가 집에서 피자나 시켜먹기로 했다”면서 “이번 주 내내 추위에 너무 시달린 탓에 주말까지 두꺼운 옷을 껴입고 외출하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주말 내내 집에서 감기 기운을 달랬다는 홍모(32)씨는 “혹한이 지나갔다고는 하지만 추운 건 마찬가지여서 감기가 심해질까 봐 안 나갔다”면서 “내일 또 추위를 겪으며 출근할 생각을 하니 벌써 아찔하다”고 했다.

종로·명동·강남역 등 시내 번화가에는 ‘북극 한파’를 겪고 나니 이 정도 추위는 이제 괜찮다는 듯 바깥나들이를 나온 시민도 다수 있었다. 서울시청 앞 광장의 스케이트장에도 모처럼 나들이객이 몰렸다. 그러나 집 밖에 나온 시민들 상당수는 영화관이나 카페, 도서관 등을 찾아 ‘실내 데이트’를 즐겼다.

충무로에서 영화 ‘B급 며느리’를 봤다는 커플 김모(28·여)씨와 이모(29)씨는 “기온이 조금 올라간 덕에 미루던 데이트를 해서 좋다”면서 “패딩만 입다가 모처럼 코트를 입어 멋을 내니 기분 전환도 되고 즐겁다”며 웃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나들이객이 많지 않아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 상황은 대체로 원활했다.

오후 4시 기준으로 영동고속도로 인천 방향이 둔내나들목→횡성휴게소, 여주휴게소→이천나들목, 진부나들목→속사나들목 등 총 27.7㎞ 구간에서 정체를 보여 가장 막혔다.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은 기흥나들목→신갈분기점, 양재나들목→서초나들목 등 총 10.7㎞ 구간에서 차량이 제 속도를 내지 못했지만, 전반적인 소통은 원활했다.

도로공사는 이날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차량은 총 41만대, 지방으로 나가는 차량은 총 38만대로 예상했다. 오후 4시 기준으로 21만대가 수도권으로 들어오고 20만대가 나갔다.

공사 관계자는 “상행선 정체는 오후 5∼6시께 절정에 달했다가 오후 8시 전후로 완전히 해소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