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여드는 음주객에 몸살…‘연트럴파크’ 출입제한 하나

모여드는 음주객에 몸살…‘연트럴파크’ 출입제한 하나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19 16:50
수정 2018-06-19 16: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의선 숲길공원 ‘핫플레이스’ 뜨자 소음·쓰레기·악취 문제 대두

‘연트럴파크’라 불리는 서울 마포구 연남동 경의선 숲길공원이 모여드는 음주객으로 몸살을 앓으면서 일부 구간 출입제한이 검토되고 있다.

마포구는 최근 서울시에 경의선 숲길공원의 지하철 홍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부터 350m에 이르는 잔디구역에 대해 3~4개월 한시적 출입제한이나 일몰 후 출입제한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19일 밝혔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숲길공원이 밤에 음주객들로 뒤덮이자 소음, 쓰레기, 악취로 인근 주택가에서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단속할 마땅한 방법이 없자 구는 훼손된 잔디밭 정비 등을 이유로 출입제한 조치가 이뤄지기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다.

마포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다른 공원과 달리 주택가에 공원이 있어서 한밤 음주객들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크다”며 “소음도 문제고 숲길공원에 공중화장실이 없다 보니 인근 골목길 노상방뇨 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 새벽이면 악취가 진동한다”고 밝혔다.

경의선 숲길공원에는 처음에는 쓰레기통도 없었지만 지난해부터 음주객들이 하나둘 모여들면서 쓰레기가 문제가 되자 마포구가 쓰레기통을 설치했다. 하지만 인기 장소가 되면서 설치된 쓰레기통으로는 넘쳐나는 쓰레기를 감당할 수 없게 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1월 경의선 숲길공원을 포함해 서울시 직영 공원 22곳을 ‘음주청정지역’으로 지정하고, ‘술을 마신 뒤 심한 소음 또는 악취가 나게 하는 등 다른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행위’에 대해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금주지역이 아니고,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기준 자체가 모호해 민원 유발 행위에 대한 단속이 되지 않고 있다. 마포구는 관할 경찰서 등과 함께 매주 금요일 이 지역에서 ‘건전한 음주 문화 캠페인’을 펼치고 있고, 목~토 밤에는 단속요원들과 함께 순찰도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혐오감을 주는 행위’에 대해 단속을 한 경우는 없다.

마포구 관계자는 “술을 마셔도 어느 정도 선을 지키면 좋은데 질펀하게 먹고 마시는 분위기가 된 게 문제”라며 “하지만 ‘금주지역’이 아니라 술 마시는 분들 앞에서 건전한 음주문화 캠페인을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모양새가 돼버렸다”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31일에는 한 맥주회사가 이 공원가에 팝업스토어를 열고 음주객에게 돗자리와 등받이의자를 제공하며 ‘분위기’를 더욱 돋우고 있다. 마포구가 ‘영업장 외 영업’ 등으로 단속을 검토했지만 역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천지개벽’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2015년 6월 개장해 주민들에게 기쁨을 준 경의선 숲길공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타고 ‘핫플레이스’로 뜨면서 이처럼 예상하지 못한 유명세를 치르게 됐다.

마포구 관계자는 “음주 문제가 뉴스에서 부각되자 더 많은 사람이 모여들고 있다”며 “무질서한 음주의 심각성이 부각돼야 하는데 이 지역이 인기 지역이라는 사실만 더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푸른도시국 관계자는 “시가 마포구로부터 공문으로 접수한 것은 없지만 공원을 관리하는 서부공원녹지사업소에는 의견이 전달된 것으로 안다”면서 “경의선 숲길공원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고 다음 주 열리는 서울시 부구청장 회의에서 해당 사안이 논의될 듯하다”고 밝혔다.

이어 “단속할 관련 법규가 없기도 하지만, 이런 사안은 단속하기보다는 성숙한 시민의식에 기대야 하는 게 아닐까 싶다”면서도 “만약 훼손된 잔디밭 출입을 제한한다면 가을부터 내년 봄까지가 되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